김형오 국회의장이 결국 경호권을 발동했다.

여야의 협상이 최종 결렬된데 따른 결과다. 김 의장은 이미 여러차례 협상결렬시 경호권 발동을 시사한 바 있다.

경호권이 발동됨에 따라 경위 65명과 방호원 90여명이 본회의장에 투입되게 된다.

이경균 국회 경위과장은 30일 "방호원은 평시에는 본회의장 출입이 금지돼 있지만 의장의 명령이 있을 때는 출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난 26일부터 철야근무에 돌입한 국회 경위과는 24시간 출동대기 상태다. 평균 무술 3단인 경위들 중엔 여성이 6명으로, 이 중 5명은 결혼해 모두 자식을 두고 있지만 닷새째 집에도 못 들어가고 있다.

올해 채용된 신입 경위 2명은 무려 1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들어왔지만, 입사 4개월 만에 국회의원과 몸싸움을 벌여야할 처지에 놓였다. 경위과 모직원은 "머리가 쭈뼛쭈뼛 선다. 2004년 탄핵 때의 악몽이 떠오른다. 자식들이 국회의원을 끌고 나가는 내 모습을 텔레비전이나 신문에서 볼까봐 두렵지만 어쩔 수 없는 일 아니냐"고 토로했다.

경호권이 발동되더라도 본회의장 진입은 쉽지 않다. 회의장 앞ㆍ뒤 6개의 출입문 모두 민주당 의원들이 바리케이드와 쇠사슬로 막은 상태다. 현재로선 국회 로텐더홀(로비)로 나 있는 정문출입구 3개문을 뚫고 진입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진입 후엔 의장석 확보가 관건이다. 국회법상 안건 처리는 의장석에서만 하도록 돼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의원 수십명이 끈으로 서로 몸을 묶고 의장석을 사수하려 할 경우 경위ㆍ방호원만으론 쉽지않다. 한나라당 의원들이 가세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민주당 당직자 또는 관계자들의 국회 추가 진입을 막기 위해 경찰청 소속인 경비대도 국회 밖에서 질서유지에 나선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