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중소 조선업체와 건설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본격화히겠다고 최근 발표한 가운데 금융권에서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한 평가기준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 중소 조선사와 건설업체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3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한 은행권과 신용평가사, 회계법인 등과 함께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대상기업 선정기준을 정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조선업체는 ▲설비 보유여부(공정 진행) ▲선박건조 실적 ▲선박 수주잔량 ▲신용평가 등급 ▲주채권은행 평가 등 크게 5가지 항목으로 평가가 이뤄진다.

가장 배점이 높은 것은 설비부문이다. 선박건조 능력도 갖추지 못한 중소조선사들이 대거 설립되면서 전체 업황에 거품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도크 등 기본 설비도 없는 곳이 해외 수주에 나서며 출혈경쟁을 부추긴 만큼 우선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게 구조조정 TF의 판단이다.

주채권은행들은 TF 기준에 따라 업체를 A~D등급으로 평가하고, 부실 기업인 C·D등급에 대해 새해 초 여신축소와 채권회수, 워크아웃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TF는 경영평가와 기업평판 등 계량화하기 어려운 부문에서는 주채권은행의 평가를 근간으로 총배점에 10% 반영할 방침이다.

건설사도 비슷한 평가기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정상 대비 부실사업장 비율을 중심으로 ▲기업력과 시공능력 ▲국내외 수주잔량 ▲기술평가 ▲신용평가 등급 ▲주채권은행 평가 등이 큰 틀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세부적으로 보완할 부분은 있지만 큰 틀에서 구조조정 기준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