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은 따뜻하고 건조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지난해 우리나라 날씨가 평년보다 따뜻하고 건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2일 전국 60개 지점의 1년간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 평균기온이 13.1도로 평년보다 0.7도 높았다고 발표했다.평균 최고기온은 18.6도,평균 최저기온은 8.3도로 모두 평년보다 0.7도 높았다.서울의 평균기온은 13.0도,평균 최고기온은 17.3도,평균 최저기온은 9.2도로 평년에 비해 각각 0.8도,0.4도,1.0도씩 높았다.
지난해는 비도 적게 왔다.지난해 강수량은 전국 평균 1028.3㎜로 평년의 78% 수준밖에 안 됐다.이는 1973년 이후 최저 5위다.특히 서울의 경우 상대습도가 59.5%로 평년보다 7.4%포인트나 낮아 1908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건조했다.기상청은 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데 대해 “올해 한반도를 지나간 태풍이 예년보다 적고 규모도 크지 않아 가을철부터 가뭄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0년대 들어 평균기온 상승·집중호우 늘어
기상청은 또 1970년대 이후 30년간 우리나라가 점점 더워지고 열대야 일수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의 2000년대 평균 기온은 1970년대에 비해 0.7도 올랐다.같은 기간 일 최저기온이 25도가 넘는 열대야 일수는 1.6일 증가했다.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2000년대 전국 강수량은 30년 전보다 13% 늘었다.지난해는 예외적으로 비가 적게 왔다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특히 집중호우가 심각해 한 시간 동안 30㎜가 넘는 비가 내리는 날이나 10분간 1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는 날이 30년 전에 비해 각각 60%,7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일조시간은 191.1시간(8.4%) 줄었다.
◆수도권 지역 온도 상승률 더 높아
이같은 기후 변화 양상은 수도권을 비롯한 인구 밀집 지역에서 더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기상청은 30년간 평균 기온이 1도 이상 상승한 지역은 대부분 수도권(서울·수원·인천)과 원주·청주·대전·대구 등 도시지역이라고 전했다.
특히 서울 평균기온은 30년간 1.1도나 상승,전국 평균(0.7도↑)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열대야 일수는 3.3일 증가했다.강수량은 30년 전보다 29.5%나 증가했으며 1시간 최다강수 30㎜ 이상 일수는 3.5배,10분간 최다강수 10㎜ 이상 일수는 2.8배로 늘었다.이로 인해 일조시간은 1970년대에 비해 193.4시간(9.6%) 짧아졌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기상청은 2일 전국 60개 지점의 1년간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 평균기온이 13.1도로 평년보다 0.7도 높았다고 발표했다.평균 최고기온은 18.6도,평균 최저기온은 8.3도로 모두 평년보다 0.7도 높았다.서울의 평균기온은 13.0도,평균 최고기온은 17.3도,평균 최저기온은 9.2도로 평년에 비해 각각 0.8도,0.4도,1.0도씩 높았다.
지난해는 비도 적게 왔다.지난해 강수량은 전국 평균 1028.3㎜로 평년의 78% 수준밖에 안 됐다.이는 1973년 이후 최저 5위다.특히 서울의 경우 상대습도가 59.5%로 평년보다 7.4%포인트나 낮아 1908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건조했다.기상청은 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데 대해 “올해 한반도를 지나간 태풍이 예년보다 적고 규모도 크지 않아 가을철부터 가뭄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0년대 들어 평균기온 상승·집중호우 늘어
기상청은 또 1970년대 이후 30년간 우리나라가 점점 더워지고 열대야 일수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의 2000년대 평균 기온은 1970년대에 비해 0.7도 올랐다.같은 기간 일 최저기온이 25도가 넘는 열대야 일수는 1.6일 증가했다.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2000년대 전국 강수량은 30년 전보다 13% 늘었다.지난해는 예외적으로 비가 적게 왔다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특히 집중호우가 심각해 한 시간 동안 30㎜가 넘는 비가 내리는 날이나 10분간 1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는 날이 30년 전에 비해 각각 60%,7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일조시간은 191.1시간(8.4%) 줄었다.
◆수도권 지역 온도 상승률 더 높아
이같은 기후 변화 양상은 수도권을 비롯한 인구 밀집 지역에서 더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기상청은 30년간 평균 기온이 1도 이상 상승한 지역은 대부분 수도권(서울·수원·인천)과 원주·청주·대전·대구 등 도시지역이라고 전했다.
특히 서울 평균기온은 30년간 1.1도나 상승,전국 평균(0.7도↑)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열대야 일수는 3.3일 증가했다.강수량은 30년 전보다 29.5%나 증가했으며 1시간 최다강수 30㎜ 이상 일수는 3.5배,10분간 최다강수 10㎜ 이상 일수는 2.8배로 늘었다.이로 인해 일조시간은 1970년대에 비해 193.4시간(9.6%) 짧아졌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