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현 베이징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일 "중국 경제,하반기 회복된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름깨나 있는 전문가들의 전망을 곁들인 이 기사는 '중국 경제에 L자는 없다'는 게 요지다. V자나 U자형으로 경제가 회복될 것이며,L자형의 장기 침체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한결같은 주장을 실었다.

이 같은 견해를 대할 때마다 적잖이 당황스러운 게 솔직한 심정이다. 중국 언론이나 관리들은 올해 중국이 목표치인 8% 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낙관하지만 국제기관이나 해외 전문가들은 그렇게 보지 않기 때문이다. 시각차가 너무 크다. 예를 들어 국제통화기금(IMF)은 5%대로 급락을 예측할 정도로 비관적이다.

물론 정부나 관영 언론사가 낙관론을 펴는 게 비판할 일만은 아니다. 경제란 것이 각 주체들의 심리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심리전 또한 중요한 전략·전술일 수 있다. 중국 정부가 비판적인 해외 언론의 인터넷사이트 접속을 최근 차단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일방적으로 쏟아지는 장밋빛 얘기 속에서 현실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중국 정부가 거의 매일 내놓고 있는 경제정책을 봐도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경기부양책도 그 중 하나다. 지방정부를 포함해 18조위안(3600조원)을 내수부양에 쏟아붓겠다고 발표했지만 이 돈을 어디서,어떻게 마련할지는 불분명하다. '오버 액션'도 보인다. 2007년 국내총생산(GDP)이 4600억위안인 윈난성이 3년간 3조위안의 경기부양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게 대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언론이나 관리들이 말하는 낙관론을 무조건 믿기는 어렵다. 더구나 지금은 1980년대 혹은 1990년대와는 환경이 너무도 다르다. 당시에 외국은 정책결정에 아무런 변수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 역시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고,이는 중국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일들이 무수히 일어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지난해 11월 사상최대의 무역흑자를 내고도 해외 자본이 빠져나가는 바람에 외환보유액이 줄어든 현상이 나타난 게 좋은 예다.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중국의 이념처럼 시장경제 역시 사회주의식으로 통제 가능하다고 믿는다면 곤란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