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사무처가 `5일 이전 점거 농성 상태 종식'을 선언, 결사항전 의지를 다지고 있는 민주당 관계자들을 어떤 방식으로 국회 밖으로 끌어낼지 주목된다.

국회 사무처는 3일 경위 65명과 방호원 90여명 등 150여명의 자체 인력을 동원,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을 비롯해 국회 곳곳에 포진해 있는 민주당, 민주노동당 당직자 및 보좌진 `소개 작전'에 착수했다.

하지만 양측의 인력규모를 비교할 때 국회 사무처의 성공적 작전수행은 쉽지 않아 보인다.

국회 출입문을 지키는 방호원 인력 등을 제외할 경우 실제 강제해산에 투입되는 인원은 100여명 수준인데 비해 민주당과 민노당 관계자들은 300명 이상 된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그야말로 수적 열세라고 할 수 있다.

실제 낮 12시50분부터 4차례에 걸쳐 강제 퇴거를 위한 이들 무술 유단자의 물리력 행사가 있었지만, 농성자 수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5일 이전'이라는 시한을 설정해 놓은 만큼 다양한 방식이 동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게릴라식' 또는 `야금야금식 소개 작전'이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점거농성 중인 곳에 경위.방호원을 투입, 국회 건물 밖으로 민주당 인력을 조금씩 끌어내는 것이다.

동시에 국회 본관 밖에서 대기중인 경찰 병력로 하여금 본관 재진입을 못하도록 함으로써 서서히 농성자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셈법이다.

이 경우 산발적인 물리적 충돌 횟수는 늘게 된다.

`기습 작전'도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다.

민주당과 민노당 관계자들의 체력소모가 저점에 있을 새벽 무렵 상대적으로 체력적으로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경위.방호원이 일거에 대규모 퇴거를 유도하는 것이다.

또 `뒷짐지기'로 일관하고 있는 한나라당의 지원을 받을지도 관심이다.

의원들간 물리적 충돌을 피한다는 게 한나라당 방침인 만큼 의원이 아닌 한나라당 관계자들의 동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오후부터 정당 보좌진의 국회 본관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는 데다, 한나라당이 국회와 민주당의 충돌로 간주하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경찰 병력을 대거 동원하는 극단적인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국회법상 경찰이 국회 본관에 들어올 수 없지만, 국회법 150조의 `현행범 체포' 규정을 적용할 경우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관측이다.

국회 본관을 국회의원의 `집'이라고 할 때 그 외의 사람들에 대해 주거침입죄를 적용, 전원 연행하는 식이다.

이 경우 유혈 충돌이 예상되는 데다, 경찰 병력의 `국회 진압'이라는 논란과 민주당의 거센 항의에 직면할 수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