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예산국, 美 올 성장률 -2.2%…재정적자 1조2천억弗 예상 주요기업 실적악화 경고…경기부양 최대 1조3천억弗로 확대
"경제흐름을 바꾸기에 너무 늦지 않았다. 당장 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초대형 경기부양 의지는 확고했다. 당선인은 9일 오전(한국시간) 미 조지메이슨대에서 "조만간 의회가 사상 유례없는 경기부양책 법안을 처리해 주지 않으면 경기침체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며 의회에 재차 협조를 요청했다. 지난 8일 미국 의회예산국(CBO)이 올 회계연도(2008년 10월1일~2009년 9월30일)에 재정적자 규모가 사상 최대인 총 1조1860억달러로 급증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지만 흔들리지 않았다. 이는 지난해 4550억달러의 2.6배에 달하며,미 국내총생산(GDP) 대비 8.3%에 이르는 수준이다. 여기에다 당선인이 추진 중인 7750억달러의 경기부양책과 함께 금융권 구제금융 7000억달러 가운데 남아있는 3500억달러를 사용하고,제너럴모터스(GM)와 크라이슬러 자동차에 대한 구제금융이 자칫 더 늘어나기라도 하면 적자는 천문학적인 규모로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누적 재정적자는 10조달러에 육박한다.
하지만 당선인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2.2%로 추락하고 실업률은 8.3%로 급등할 것이란 CBO의 암울한 전망을 더 우려했다. -2.2%는 1946년 -11% 이후 가장 나쁜 기록이다. 이날 인력 · 고용정보업체인 ADP도 정부부문을 제외한 미 민간부문 고용이 작년 12월에만 69만3000명 줄어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1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ADP의 민간고용이 급감한 점에 비춰볼 때 미 노동부가 9일 발표하는 12월 비농업부문 고용도 크게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전문가들의 전망치를 인용,12월 고용이 50만명가량 줄어 지난해 전체적으로 24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11월 6.7%였던 실업률은 12월에 7%대로 치솟을 가능성이 크다. 작년 12월 기업들이 발표한 감원 규모는 16만6348명으로 전년 동월의 4배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로 기업들이 감원한 인력은 총 122만3993명으로 전년보다 59% 증가했다. 2003년(123만6426명) 이후 해고가 가장 많았다.
4분기 어닝시즌(실적발표 기간) 시작이 내주로 다가온 가운데 주요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도 당선인을 우울하게 만들었다.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인 인텔은 이날 작년 4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줄어든 82억달러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전망치 90억달러보다 크게 부진한 것이다. 뉴욕타임스 블룸버그 등 언론들은 미디어그룹인 타임워너도 아메리칸온라인(AOL) 지분 가치 하락에 따른 250억달러 규모의 자산상각으로 지난해 적자를 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JP모건체이스도 분기 적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세계 최대 알루미늄업체인 알코아도 실적 악화에 직면,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당선인은 또 조지메이슨대에서 "대대적인 경기부양과 동시에 소비자와 투자자,기업들을 무모한 월가의 탐욕과 모험에서 보호하고,금융위기를 보다 잘 견뎌낼 수 있도록 허약하고 낡은 금융 규제 · 감독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당선인은 이런 상황을 감안,이날 미 CNBC방송에 출연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7750억달러의 경기부양 규모가 더 늘어날 수있다고 밝혔다. "8000억달러에서 1조3000억달러 선을 검토해왔다"는 것이다. CBO는 경기부양책이 본격 시행되면 내년 성장률이 1.5%로 회복되고 재정적자 규모 역시 7030억달러로 감소할 것이라고 당선인에게 힘을 실어줬다. 당선인은 재정지출을 늘리면서 예산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백악관에 '성과효율감독관(CPO)'이란 자리를 신설하고 낸시 킬퍼를 임명했다. 킬퍼는 맥킨지컨설팅 출신으로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부 차관보를 지낸 인물이다.
중국의 중·대형 트럭의 전기화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무공해 트럭 약 8만 대가 판매됐다. 이는 2023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3년 전과 비교하면 25배나 증가했다. 8만 대 중 대부분이 배터리가 장착된 대형전기트럭이었고, 4000대가량은 수소전기트럭이었다.중국 전기트럭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요인은 저렴한 자국 배터리다. 지난해 중국의 전기 상용차 배터리 가격은 1킬로와트시(kWh)당 90달러(약 13만원)로, 중국 외 국가들 평균(190달러)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낮은 배터리 가격 덕분에 디젤(경유) 트럭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고, 배터리 교환식 트럭이 확산하면서 충전 시간이 단축되고 운영 비용 절감 효과도 커졌다. 2023년 중국 정부의 대규모 노후 차량 폐차 지원 프로그램이 신차 수요를 끌어올리면서 전기트럭 시장 성장에 더욱 속도가 붙었다. 전기트럭 제조업체 간 가격 전쟁도 심화하면서 일부 대형전기트럭 모델의 가격은 2023년보다 최대 30% 낮아졌다.중국 전기트럭 시장은 전통적인 완성차 업체가 아닌 전문 제조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산이, 쉬궁, 위퉁 등 전기트럭 제조 전문 기업들은 2023년 상반기 기준 전기 트럭 시장 점유율의 40% 이상을 차지했으나, 전체 트럭 시장 점유율은 0.5%에 불과했다. 반면 시노트럭, 제일자동차그룹(FAW), 둥펑, 산시자동차 등 중국 4대 트럭 제조업체는 중국 내 트럭 시장의 80%를 차지했지만, 전기트럭 시장 점유율은 30% 이하에 머물렀다.전기트럭 시장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배터리 성능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 배터리 제조사인 EVE에너
마이클 바 미국 중앙은행(Fed)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이 인공지능(AI)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속도와 자동성이 잠재적으로 자산 거품(버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 부의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외교협회(CFR) 연설에서 "생성형 AI 사용은 집단행동과 위험의 집중으로 이어져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생성형 AI 시스템이 이익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다면 이들은 조정된 시장 조작을 통해 수익을 크게 내는 전략으로 수렴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자산 거품과 붕괴를 촉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바 부의장은 "비은행 기관의 경우 AI를 기업 운영에 통합하는 데 있어 더 민첩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며 "따라서 금융 분야가 기업의 덜 투명한 영역으로 밀려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또 "우리는 생성형 AI가 경제 및 정치 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극소수의 손에 경제적, 정치적 권력이 집중돼 소수의 그룹만 이익을 보고 나머지는 뒤처지게 될 위험이 있다"고 전망했다.미 Fed에서도 강력한 내부 감시시스템 아래 AI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바 부의장은 설명했다.바 부의장은 전임 바이든 정권 때 지명된 인물이다. 강력한 금융규제 정책을 주도해온 그는 후임자가 결정되면 이달 중 미 Fed 부의장 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미국 내 '틱톡 금지법'으로 틱톡 이용자들이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레드노트'(중국명 샤오홍슈)로 몰리는 가운데, 중국 네티즌들의 황당한 '한혐' 주장이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다.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9일 "미국 내 '틱톡 금지법'이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유예됐지만, 틱톡 이용객들이 피난처로 샤오홍슈로 갈아타고 있다"면서 중국 네티즌들의 극우 발언에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샤오홍슈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셜미디어 중 하나인데,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약 3억 명에 달한다. 이런 샤오홍슈는 지금까지 중국 내에서만 주로 이용됐고, 사용자들도 대부분이 중국인들이다.서 교수는 "샤오홍슈 확인 결과 중국인들이 미국인들에게 '한국은 도둑국'이라는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그야말로 미국인들에게 세뇌 중인데,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쳐 가고 있다', '한국을 믿지 말라' 등 상당히 많은 글과 영상들이 현재 퍼지고 있어 꽤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그러면서 "현재 한국 문화가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보니 중국 누리꾼의 심한 '열등감'에서 비롯된 행위"라며 "중국인들의 이러한 '삐뚤어진 중화사상'은 전 세계에서 중국을 고립국으로 만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