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밑에 있다고 가벼이 여길 존재는 아니다. 우리가 딛고 선 땅 얘기다. 땅은 많은 문명에서 생명의 근원이자 모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넓게는 근대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영토, 좁게는 개인의 소유를 경계 짓는 단위다. 디지털 사회의 땅은 메타버스와 가상현실(VR) 등으로 물질적인 경계마저 뛰어넘고 있다.서울 논현동 서정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땅, 소비되는 신화’는 두 작가가 해석한 땅의 의미를 보여준다. 전시된 회화 17점이 각각 누구 작품인지 어렵지 않게 구분할 수 있다. 오다교(33)는 생태주의적 화풍으로 현재의 땅을, 송지윤(44)은 초현실적 구성으로 과거와 미래의 땅을 그린다.오 작가는 흙과 모래, 숯 등 자연에서 구한 소재로 그린 신작 회화를 선보였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계열의 색으로 칠해진 캔버스에 녹색과 황색의 입자들을 흩뿌렸다. 내성적인 오 작가의 주요 일과는 산책과 사색이다. 이번 신작들도 장마가 한 차례 휩쓸고 간 아스팔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제목은 ‘리플렉티브’. 우리말로 ‘반사하는’과 ‘성찰하는’이란 중의적인 단어다. 오 작가는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청아한 풍경 이면에는 전날의 수해가 있었을 것”이라며 “일시적이고 유한한 풍경을 담았다”고 말했다.송 작가가 땅에 접근하는 태도는 보다 추상적이다. 흙과 모래 등 자연물로서가 아니라 삶의 터전이 되는 ‘공간’의 의미에 가깝다. 그래서인지 그림 속 풍경은 현실을 그대로 옮기는 데 무게를 두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 신전의 기둥과 사막의 식생, 기암괴석이 뒤섞인 비현실적 구도가 엿보인다.코로나19가 창궐하던 시절 공간에 대한 문제의식이 발
‘검은 수녀들’ ‘히트맨 2’ 등 대형 상업 영화가 흥행몰이를 하는 가운데 재기발랄한 이야기로 평단과 관객의 호평을 받는 독립영화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독특한 설정으로 상업 영화에는 없는 미덕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금 극장에서 만나야 할 독립영화 두 편을 소개한다.‘문워크’는 촬영감독 출신인 신현규 감독의 연출 데뷔작이다. 할아버지가 집을 나간 후 술만 마시며 삶을 비관하는 엄마를 지켜보는 딸 ‘정희’(황지아 분)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정희는 엄마의 방황을 끝내기 위해 얼굴 한번 보지 못한 할아버지를 찾아 나선다. 친구 ‘태헌’(김건우 분)과 함께 부산에서 식당을 하는 할아버지 ‘건석’(유승목 분)을 찾아내지만, 마주할 용기가 나지 않는다.한편 엄마 ‘유선’(김민경 분)과 삼촌 ‘윤권’(송동환 분)은 가출한 정희를 찾기 위해 떠난다. 부산으로 향하는 동안 이들이 어린 시절 겪은 엄청난 비극과 할아버지의 비밀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한다.엄마에게 할아버지를 찾아주기 위해 떠나는 소녀의 발랄한 여정을 그리는 듯하지만 이 영화가 소녀의 가족을 통해 조명하는 화두는 절대 가볍지 않다. 이야기의 중추인 가족의 비극, 그리고 그 비극의 중심에 있는 엄마를 통해 신파적 설정의 엄마 및 모성의 재현으로부터 거리를 둔다.감독의 데뷔작인 만큼 밸런스의 미숙함도 눈에 띈다. 가령 아이들이 주고받는 대사에서 갑자기 등장하는 만화적 효과나 정희에게 난입하는 불량 청소년들의 출현 등은 전반적인 흐름과 밸런스에 방해되는 요소다. 그럼에도 ‘문워크’는 주목할 만한 데뷔작이자 눈물과
‘미술사학자 유홍준 특별강연’이 2월 8일 서울 S2A에서 열린다. 전시 ‘필(筆)과 묵(墨)의 세계: 3인의 거장’의 연계 강연으로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윤형근 3인의 삶과 예술세계를 다룬다. 3일까지 아르떼 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된다. 2명을 뽑아 초대권을 한 장씩 준다. 당첨자 발표는 4일 꼭 읽어야 할 칼럼● 이민자들이 만든 호주 커피 문화호주의 커피 문화는 다양한 이민자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에스프레소 문화를 전파하며 변화를 이끌었다. 이후 롱블랙과 플랫화이트 같은 호주만의 커피 스타일이 탄생했고, 백호주 폐지로 다문화 사회가 형성돼 더욱 풍부한 커피 문화가 자리 잡았다. - 칼럼니스트 조원진의 ‘공간의 감각’● 식사 중 즐기는 음악18세기 유럽의 왕실과 귀족은 식사 중 음악을 즐겼고, 특히 텔레만의 ‘타펠무지크’가 큰 인기를 끌었다. 한때 귀족의 전유물이던 타펠무지크가 시대 변화에 따라 대중화됐듯, 지금은 누구나 좋아하는 음악과 음식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결국 삶이란, 좋아하는 걸 먹고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게 아닐까. - 지휘자 지중배의 ‘삶의 마리아주-맛있는 음악’ 꼭 봐야 할 공연·전시● 음악 - 서울시향 츠베덴서울시립교향악단의 정기공연이 오는 20, 21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지휘자 얍 판 츠베덴이 이끌며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제7번을 연주한다.● 뮤지컬 - 천 개의 파랑‘천 개의 파랑’이 오는 22일부터 3월 7일까지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된다. 하나같이 상처 입고 소외된 존재들이 서로를 통해 치유하는 이야기다.● 전시 - 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