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법정관리 신청] '끝없는 먹튀논란' … 인수자금 날려도 SUV기술은 이미 빼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한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대명사로 불리는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것은 2004년 10월이었다. 중국 내에선 최대 자동차그룹이었지만 한국 등 자동차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컸기 때문이다.
상하이차는 당시 쌍용차 채권단과 지분 48.9%를 주당 1만원에 인수하기로 계약을 맺고 인수대금 5900억원(5억달러)을 지불했다. 이후 지분율을 51.3%까지 늘려 최대주주가 됐다. 중국 국영기업인 상하이차와 쌍용차 노조의 악연은 인수 이전부터 시작됐다. 노조는 2004년 7월 중국 자본으로의 매각을 반대하며 총파업을 벌였다. 같은 해 10월 장쯔웨이 상하이차 부총재와 쌍용차 노조는 고용을 보장하는 대신 매각 위로금을 지급하지 않는 조건의 특별협약을 맺었다.
노조는 2006년 8월 "상하이차가 쌍용차 제조기술을 헐값에 빼돌리고 있다"며 장쯔웨이 당시 쌍용차 대표 등 이사진 9명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또 상하이차가 매년 3000억원씩 총 1조2000억원을 쌍용차에 신규 투자하고 연간 33만대를 생산하겠다고 약속해 놓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하이차가 장 대표의 후임으로 구조조정 전문가인 필립 머터우 상하이차 글로벌사업 총괄 부사장을 선임하자 파업으로 맞섰다.
글로벌 수요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쌍용차는 작년 하반기 들어 유동성 부족에 시달렸다. 작년 12월17일부터는 경기 평택 등 전 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12월 임직원 급여도 지급하지 못했다. 대주주의 도움이 절실했다.
상하이차가 쌍용차 경영권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도는 작년 말 최형탁 사장의 발언에서 처음 확인됐다. 최 사장은 작년 12월23일 국회에서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을 만나 "노조가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상하이차가 한국에서 철수할 방침"이라며 "이는 쌍용차 파산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상하이차는 이후 쌍용차 대표를 지냈던 장쯔웨이 부회장을 급파,한국 정부 및 산업은행 등과 접촉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산업은행은 "대주주의 선지원이 있어야 추가 대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상하이차는 9일 국내 철수를 의미하는 쌍용차 법정관리행(行)을 선택했다. 상하이차가 쌍용차의 앞선 SUV 기술을 헐값에 빼내기 위해 인수 이후부터 치밀한 계획을 실행해온 것이란 시각도 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상하이차는 당시 쌍용차 채권단과 지분 48.9%를 주당 1만원에 인수하기로 계약을 맺고 인수대금 5900억원(5억달러)을 지불했다. 이후 지분율을 51.3%까지 늘려 최대주주가 됐다. 중국 국영기업인 상하이차와 쌍용차 노조의 악연은 인수 이전부터 시작됐다. 노조는 2004년 7월 중국 자본으로의 매각을 반대하며 총파업을 벌였다. 같은 해 10월 장쯔웨이 상하이차 부총재와 쌍용차 노조는 고용을 보장하는 대신 매각 위로금을 지급하지 않는 조건의 특별협약을 맺었다.
노조는 2006년 8월 "상하이차가 쌍용차 제조기술을 헐값에 빼돌리고 있다"며 장쯔웨이 당시 쌍용차 대표 등 이사진 9명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또 상하이차가 매년 3000억원씩 총 1조2000억원을 쌍용차에 신규 투자하고 연간 33만대를 생산하겠다고 약속해 놓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하이차가 장 대표의 후임으로 구조조정 전문가인 필립 머터우 상하이차 글로벌사업 총괄 부사장을 선임하자 파업으로 맞섰다.
글로벌 수요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쌍용차는 작년 하반기 들어 유동성 부족에 시달렸다. 작년 12월17일부터는 경기 평택 등 전 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12월 임직원 급여도 지급하지 못했다. 대주주의 도움이 절실했다.
상하이차가 쌍용차 경영권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도는 작년 말 최형탁 사장의 발언에서 처음 확인됐다. 최 사장은 작년 12월23일 국회에서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을 만나 "노조가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상하이차가 한국에서 철수할 방침"이라며 "이는 쌍용차 파산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상하이차는 이후 쌍용차 대표를 지냈던 장쯔웨이 부회장을 급파,한국 정부 및 산업은행 등과 접촉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산업은행은 "대주주의 선지원이 있어야 추가 대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상하이차는 9일 국내 철수를 의미하는 쌍용차 법정관리행(行)을 선택했다. 상하이차가 쌍용차의 앞선 SUV 기술을 헐값에 빼내기 위해 인수 이후부터 치밀한 계획을 실행해온 것이란 시각도 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