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한주만에 고용창출 전망 수치 수정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당선인은 10일 현재 계획 중인 경기부양책이 시행되면 향후 2년간 300만~4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90%는 민간부문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바마 당선인은 이날 주례 라디오 연설을 통해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그러나 오바마 당선인은 한주일 전 행한 라디오 연설에서는 3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가운데 80%가 민간부문에서 생겨날 것이라고 밝혔으나 한주만에 일부 내용이 수정된 것이다.

오바마 당선인은 자신의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에 내정된 크리스티나 로머 교수와 조지프 바이든 부통령 당선인의 경제수석보조관인 제리드 번스타인 등이 작성한 14쪽 분량의 보고서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면서 경기부양책의 효과에 대해 부분적으로 내용을 수정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경제전문가들은 경기부양책이 의회의 심의과정에서 어떻게 달라질지 예측하기 어렵고 모델 자체가 가정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전망치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오바마 당선인은 이날 라디오 연설에서 수정된 전망 내용을 설명하면서 친환경에너지 분야 투자를 통해 거의 50만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기고 도로, 교량, 학교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통해서도 대략 40만명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친환경 에너지 분야 투자는 향후 3년 내 대체에너지 생산을 두 배로 늘리고 200만 가구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초 오바마 당선인측은 경기부양책에 3천억달러 규모의 감세안을 담았으나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감세안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함에 따라 내용을 일부 수정키로 했다.

그러나 이처럼 수시로 방침이 수정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경제전문가들 사이에서 경기부양 효과를 둘러싸고 상당한 논쟁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감세안을 적극 지지하는 공화당 측으로부터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