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쌍용차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자금난을 겪게 될 쌍용차 협력업체들에 대한 금융.고용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협력업체들이 최대한 대체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마케팅 지원 등을 편다는 구상을 갖고 있지만 세계적 자동차 산업 위기로 단기간내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아 일단은 긴급 유동성 지원이 주대책이 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와 금융위원회는 12일 오전 실물금융종합지원단 회의를 갖고 쌍용차 협력업체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주력 산업의 성장동력 보호를 위해 작년 말 설립된 실물금융종합지원단은 금융위 사무처장과 지경부 산업경제실장이 공동 단장을 맡고 있다.

정부는 쌍용차의 우량 부품 납품업체들이 쌍용차 외에 대체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기업이 일시적 자금난으로 흑자도산 하지 않도록 은행권의 중소기업 신속지원 프로그램(패스트 트랙)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패스트트랙은 기업의 등급에 따라 A등급의 경우는 주채권은행이, B등급은 채권단회의가 지원여부를 결정하고 C등급은 워크아웃 등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도록 돼있다.

현재 쌍용차의 1차 협력업체 가운데 실질적으로 쌍용차에 전속된 업체는 44개, 쌍용차에 일부 매출이 있는 협력업체들은 모두 213개 가량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경부 당국자는 "대체 판로 확보를 위해 정부가 마케팅 지원 등을 할 수는 있으나 자동차업종의 특수성상 쉽지 않은 문제"라며 "우선 자금지원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쌍용차에 납품한 제품에 대한 채권의 확보문제에 대해서는 "일단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 뒤에 다룰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경부는 13일 쌍용차의 주요 협력업체 대표들과 만나 이들이 처한 정확한 상황을 전해듣고 이를 기초로 구체적인 협력업체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BBS 라디오에 출연해 "쌍용차 자체 문제는 법원에서 법정관리에 대한 결정이 나오기 전에 정부가 구체적인 조치를 말하기 어렵다"면서 "다만 하청업체는 법정관리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고용 유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금융지원 대책으로 패스트 트랙을 통해 협력업체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김호준 기자 jsking@yna.co.krho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