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회,금융권 등이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자동차 일병 구하기’에 발 벗고 나섰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는 13일 정부 및 협력업체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간담회를 갖고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차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지경위는 이날 협력업체 지원 등 다양한 쌍용차 살리기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단기 유동성 문제 해결보다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았다.

정장선 지경위 위원장은 “일단 쌍용차측에서는 조속한 시일내에 공장가동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동시에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부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권도 쌍용차에 대한 자금 지원 가능성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 일단 쌍용차의 법정관리 개시 절차를 지켜보면서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은 쌍용차의 법정관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회생 가능성 등을 파악하고 있다.

전광우 금융위원회 위원장도 13일 쌍용차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협력업체에 대한 차등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쌍용차 협력업체 지원방안을 지식경제부와 협의 중에 있다”며 “200여개 쌍용차 협력업체 중 쌍용차에 전속된 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는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쌍용차의 1차 부품업체는 213개이며 2,3차까지 모두 포함하면 500∼600여곳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44개 업체는 쌍용차에 100% 전속된 업체다.

정부도 쌍용차를 살리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팔을 걷어부치고 있다. 정부는 최근 쌍용차에 대한 직접지원 대신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일단 쌍용차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유동성 위기 등 자금난을 겪고 있는 협력업체들에 대해 금융과 고용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법원이 쌍용차에 대한 채권과 채무를 동결하기로 하면서 협력업체에게 준 어음이 지급중지되고 있다. 부품업체들이 쌍용차로부터 받은 어음은 3천600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와 함께 쌍용차의 부품 납품업체들을 대상으로 ‘패스트 트랙’을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일시적 자금난으로 흑자도산 하지 않도록 은행권의 중소기업 신속지원 프로그램이다.

한편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차는 이날부터 부품 조달 차질로 평택과 창원 공장에서 생산을 중단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쌍용차는 언제까지 생산을 중단할지는 미정이라고 밝혀 공장 가동 중단이 장기화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