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용대란 앞으로가 더 걱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려했던 대로 고용사정이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어 정말 걱정이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지난해 12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 증가수가 5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 전체 고용인구가 전년 동월 대비 1만2000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9월 이전 20만명대의 증가폭을 유지했지만,실물경제 침체가 본격화된 10월 9만7000명,11월 7만8000명으로 급속히 축소(縮小)됐다가 결국 고용감소로 이어지고 만 것이다.
고용 한파는 이미 예견돼 오긴 했지만 감소 추세가 지나치게 빠르고,특히 청년층의 취업자 감소폭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20~29세 연령대 취업자 수가 12만8000명이나 줄어들었다. 업종별로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9만9000명이나 감소,산업기반이 흔들리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고용대란의 시작에 불과할 뿐,앞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대기업도 신규채용을 줄이는 추세인데다,곧 건설 조선 등의 업종을 시작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고용 감소의 충격이 더 크고 깊을 것은 불보듯 뻔하다.
고용이 줄면 소득 감소와 수요 위축으로 경기가 더욱 뒷걸음치는 악순환에 빠질 수밖에 없음은 설명할 필요도 없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마저 갈수록 부진한 실정이고 보면 고용 수요의 지속적인 감소 또한 불가피한 상황이다. .
무엇보다 경기침체가 워낙 빠르고,일자리 정책이 고용 증대로 이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한 특단의 대책이 다급하다. 정부는 녹색뉴딜과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SOC사업 확대 등의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은데 이어,예산의 조기 집행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다한다는 방침이지만 속도를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재정지출의 배분과 우선순위에 있어서도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장 비중있게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다.
기업들 또한 감원을 통한 구조조정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급선무(急先務)다. 이를 위해서는 노사의 고통분담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노조는 우선 회사를 살려야 일자리가 지켜질 수 있음을 분명히 인식해 임금동결,원가절감,생산성 향상 등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고용 한파는 이미 예견돼 오긴 했지만 감소 추세가 지나치게 빠르고,특히 청년층의 취업자 감소폭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20~29세 연령대 취업자 수가 12만8000명이나 줄어들었다. 업종별로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9만9000명이나 감소,산업기반이 흔들리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고용대란의 시작에 불과할 뿐,앞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대기업도 신규채용을 줄이는 추세인데다,곧 건설 조선 등의 업종을 시작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고용 감소의 충격이 더 크고 깊을 것은 불보듯 뻔하다.
고용이 줄면 소득 감소와 수요 위축으로 경기가 더욱 뒷걸음치는 악순환에 빠질 수밖에 없음은 설명할 필요도 없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마저 갈수록 부진한 실정이고 보면 고용 수요의 지속적인 감소 또한 불가피한 상황이다. .
무엇보다 경기침체가 워낙 빠르고,일자리 정책이 고용 증대로 이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한 특단의 대책이 다급하다. 정부는 녹색뉴딜과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SOC사업 확대 등의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은데 이어,예산의 조기 집행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다한다는 방침이지만 속도를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재정지출의 배분과 우선순위에 있어서도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장 비중있게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다.
기업들 또한 감원을 통한 구조조정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급선무(急先務)다. 이를 위해서는 노사의 고통분담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노조는 우선 회사를 살려야 일자리가 지켜질 수 있음을 분명히 인식해 임금동결,원가절감,생산성 향상 등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