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TESAT] 동일한 상품 판명에 쓰이는 탄력성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문제 ] 다음 중 탄력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어떤 두 상품이 동일한 성격의 상품인지를 판명하기 위해 소득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②어떤 상품이 서민들의 생활에 필수적인 것인지 판명하기 위해 가격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③기펜재의 소득 탄력성은 음의 값을 갖는다.
④하이트 맥주가 진로 소주를 인수해도 좋을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교차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⑤농산물은 단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아 가격 변동이 클 수 있다.
[ 해설 ] 탄력성은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에 대해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를 말한다. 상품의 가격(또는 소득)이 조금 변하는데도 해당 상품의 수요가 아주 크게 변하면 수요의 가격(또는 소득)탄력성이 크다고 한다. 생활필수품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고 사치재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탄력성에는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 외에 교차탄력성도 있다. 교차탄력성은 두 종류의 재화가 있을 때 한 재화의 가격 변화에 대해 다른 재화의 수요 변화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콜라값이 10% 올랐을 때 사이다 판매량이 5% 늘었다면 교차탄력성은 0.5이다. 교차탄력성이 높을수록 두 재화는 대체관계에 있고 같은 시장의 상품으로 분류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합병회사의 시장 독점 여부를 판단할 때 교차탄력성을 활용한다.
만일 맥주와 소주가 같은 시장에 포함된다면 하이트 맥주의 진로 소주 인수는 반독점법에 의해 규제를 받을 수 있다. ④는 맞는 설명이다. 동일한 성격의 상품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탄력성 역시 소득탄력성이 아니라 교차탄력성이다. 따라서 ①이 틀린 설명이다.
기펜재는 영국의 경제학자 R.기펜이 찾아낸 재화로 가격이 하락(실질소득증가)하면 오히려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를 말한다. 농산물은 대부분 1년 단위로 공급량이 결정되므로 단기에는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탄력성은 일반적으로 수요탄력성을 의미한다. 이 문제의 정답률은 20%로 비교적 낮았다.
①어떤 두 상품이 동일한 성격의 상품인지를 판명하기 위해 소득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②어떤 상품이 서민들의 생활에 필수적인 것인지 판명하기 위해 가격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③기펜재의 소득 탄력성은 음의 값을 갖는다.
④하이트 맥주가 진로 소주를 인수해도 좋을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교차 탄력성을 사용할 수 있다.
⑤농산물은 단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아 가격 변동이 클 수 있다.
[ 해설 ] 탄력성은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에 대해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를 말한다. 상품의 가격(또는 소득)이 조금 변하는데도 해당 상품의 수요가 아주 크게 변하면 수요의 가격(또는 소득)탄력성이 크다고 한다. 생활필수품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고 사치재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탄력성에는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 외에 교차탄력성도 있다. 교차탄력성은 두 종류의 재화가 있을 때 한 재화의 가격 변화에 대해 다른 재화의 수요 변화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콜라값이 10% 올랐을 때 사이다 판매량이 5% 늘었다면 교차탄력성은 0.5이다. 교차탄력성이 높을수록 두 재화는 대체관계에 있고 같은 시장의 상품으로 분류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합병회사의 시장 독점 여부를 판단할 때 교차탄력성을 활용한다.
만일 맥주와 소주가 같은 시장에 포함된다면 하이트 맥주의 진로 소주 인수는 반독점법에 의해 규제를 받을 수 있다. ④는 맞는 설명이다. 동일한 성격의 상품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탄력성 역시 소득탄력성이 아니라 교차탄력성이다. 따라서 ①이 틀린 설명이다.
기펜재는 영국의 경제학자 R.기펜이 찾아낸 재화로 가격이 하락(실질소득증가)하면 오히려 수요가 줄어드는 재화를 말한다. 농산물은 대부분 1년 단위로 공급량이 결정되므로 단기에는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탄력성은 일반적으로 수요탄력성을 의미한다. 이 문제의 정답률은 20%로 비교적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