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매각을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산업은행과 한화그룹이 인수조건에 대한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매각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산은이 최근 한화의 일부 자산 인수를 제시한데 이어 한화가 최근 분할매입 등의 새로운 인수조건을 내밀었지만 양측이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은은 16일 대우조선 매각과 관련해 다음주 중 공동매각추진위원회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입장을 결정,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은 관계자는 “한화 측에서 대우조선 인수와 관련한 최종 입장을 보내옴에 따라 내주 중 공동매각추진위원회와 이사회를 열어 최종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한화는 최근 분할매입안을 포함한 기존 자금조달계획안을 그대로 전달해 산은 측의 재검토를 요청한 상황이다. 한화는 대우조선 지분 51% 중 30.2%만 우선 인수하고 나중에 잔여 지분을 매입하는 분할 인수 방안을 제안했다.

하지만 산은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산은 관계자는 “분할 인수 방안은 특혜 논란이 따를 수 있다”며 “한화 측이 최종 입장을 전달해옴에 따라 우리도 최종적인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미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가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은이 한화가 제시한 최종 분할매입안에 대해 허용할 수 없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만약 대우조선 매각이 무산되면 한화와 산은은 3000억원에 달하는 이행보증금을 놓고 법정공방을 펼칠 전망이다. 한화 측은 이미 법무팀 및 외부 변호사를 통해 이행보증금 반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행보증금의 일부를 되돌려받을 수 있다는 게 한화 측의 생각이다.

한화 관계자는 “양해각서(MOU) 체결이후 확인실사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행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어느정도 명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