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산은, 대우조선 협상 결렬 수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화 '새 자금조달계획' 제출 안해
産銀, 내주 이사회서 최종 결론
産銀, 내주 이사회서 최종 결론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한화와 산업은행의 협상이 결렬 수순에 돌입했다. 산업은행은 한화가 대우조선 지분의 분할매입 외에 추가로 검토할 방안이 없다는 서한을 보내옴에 따라 내주중 공동매각추진위원회와 이사회를 열어 최종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고 16일 밝혔다. 한화는 전날 대우조선 인수를 위한 추가방안이나 새로운 자금조달계획서도 제출하지 않았다.
한화는 이에 앞서 매각 대상인 대우조선 지분 51% 중에서 30%만 우선 인수하고 나중에 잔여 지분을 매입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산은은 이에 대해 현실성 없는 대안이라는 반응과 함께 거부의사를 명확히 밝혔다.
산은 관계자는 "분할 인수 방안은 당초 대우조선 매각을 추진할 때의 방향과 전혀 다른 것으로,특혜 논란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수용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애당초 분할 인수가 가능하다고 발표했다면 더 많은 인수의향자들이 나왔을 것이므로 한화가 우선협상자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양측의 협상이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양측의 협상이 결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관측과 함께 향후 사태는 한화측이 이미 납부한 3000억원의 이행보증금을 둘러싼 법정공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산은은 협상 결렬의 책임이 한화에 있는 만큼 우선협상대상자 자격 취소와 함께 이행보증금은 몰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체결한 양해각서(MOU)상 본계약 체결이 무산되면 산은은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을 취소하고 이행보증금을 몰취할 수 있게 돼 있다.
반면 한화는 본계약 체결이 무산된 데는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를 하지 못하도록 한 노조와 이를 관리하지 못한 산은의 책임도 크다는 입장이다. 산은은 그러나 MOU상 실사 없이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고 돼 있다며 계약 무산시 우선협상대상자 자격 취소와 이행보증금 몰취 등 매도인의 권리행사는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재반박했다.
한편 이날 한화 주가는 대우조선 인수가 사실상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3% 이상 급등,전날보다 3150원 오른 2만6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대우조선 인수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가면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제거돼 기업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나대투증권 이정헌 애널리스트는 "한화가 대우조선 인수에 투입하기로 한 6조원은 최근 이 회사 시가총액에 비해 너무 비싸다"면서 "한화가 계약금 3000억원을 포기해도 향후 기업가치에는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한화는 이에 앞서 매각 대상인 대우조선 지분 51% 중에서 30%만 우선 인수하고 나중에 잔여 지분을 매입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산은은 이에 대해 현실성 없는 대안이라는 반응과 함께 거부의사를 명확히 밝혔다.
산은 관계자는 "분할 인수 방안은 당초 대우조선 매각을 추진할 때의 방향과 전혀 다른 것으로,특혜 논란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수용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애당초 분할 인수가 가능하다고 발표했다면 더 많은 인수의향자들이 나왔을 것이므로 한화가 우선협상자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양측의 협상이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양측의 협상이 결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관측과 함께 향후 사태는 한화측이 이미 납부한 3000억원의 이행보증금을 둘러싼 법정공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산은은 협상 결렬의 책임이 한화에 있는 만큼 우선협상대상자 자격 취소와 함께 이행보증금은 몰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체결한 양해각서(MOU)상 본계약 체결이 무산되면 산은은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을 취소하고 이행보증금을 몰취할 수 있게 돼 있다.
반면 한화는 본계약 체결이 무산된 데는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를 하지 못하도록 한 노조와 이를 관리하지 못한 산은의 책임도 크다는 입장이다. 산은은 그러나 MOU상 실사 없이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고 돼 있다며 계약 무산시 우선협상대상자 자격 취소와 이행보증금 몰취 등 매도인의 권리행사는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재반박했다.
한편 이날 한화 주가는 대우조선 인수가 사실상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3% 이상 급등,전날보다 3150원 오른 2만6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대우조선 인수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가면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이 제거돼 기업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나대투증권 이정헌 애널리스트는 "한화가 대우조선 인수에 투입하기로 한 6조원은 최근 이 회사 시가총액에 비해 너무 비싸다"면서 "한화가 계약금 3000억원을 포기해도 향후 기업가치에는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