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은 "올해는 교육개혁을 실행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20일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정부가 지난해 좋은 교육 정책을 많이 선보였지만 실행이 어려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취임식에서 수차례에 걸쳐 학교 현장의 변화와 학부모가 체감할 수 있는 교육개혁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교육 현장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정책을 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고,학교 현장이 역량을 갖추도록 여건을 조성해 줘야 한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 현장의 자율교육에 힘을 실어주고 결과를 학부모들이 체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기숙형 공립고를 사례로 들었다. "학부모들이 기숙형 공립고를 보고 학교가 좋아졌다고 평가하고 앞으로는 과외가 필요없다고 생각해야 교육개혁을 체감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차관은 또 자신이 강한 교육개혁의 상징처럼 보이는 것이 부담스러운 듯 "그동안 교육계 분들을 만나보면 저보고 생각보다 부드럽다고 말씀하신다"며 "교과부 여러분들도 생각보다 제가 부드럽더라고 말씀하시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그가 실무를 직접 담당하는 차관직에 온 만큼 앞으로 교과부 · 교원 등 현장의 어려움을 듣고 교육개혁의 완급을 조절하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하지만 교육계는 이 차관의 '컴백'에 긴장한 모습이다.

특히 교원단체들은 교원평가제 등 민감한 사안을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할까봐 우려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교총은 "앞으로 현장 목소리를 듣도록 귀는 크게 하고 입은 작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상은/성선화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