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철거민 참변 왜 불렀나] 화염병ㆍ염산병 등 시민들에도 무차별 투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찰, 물대포 쏘며 진압 … 특별수사 본부 설치
전국철거민연합(이하 전철연) 회원들이 용산재개발 지역에 위치한 한 빌딩에서 점거시위를 벌이는 가운데 경찰이 진압에 나서 경찰을 포함한 6명이 숨지는 등 큰 피해를 냈다. 경찰 측은 농성자들이 시너를 뿌리고 화염병을 던져 발생한 일이라며 폭력점거를 참사의 원인으로 꼽았다. 하지만 경찰이 현장 상황을 꼼꼼히 고려하지 않고 진압에 나선 것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시간대별 상황은
진압작전을 지휘한 용산경찰서에 따르면 전철연 회원 등이 서울 용산에 있는 남일당 건물을 점거한 것은 19일 오전 5시께.이들은 "용산재개발 과정에서 보상금 규모가 적어 생계 유지가 안된다"며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점거 이후 옥상에 컨테이너 3단으로 된 망루를 설치했고 준비한 화염병 150개,염산병 40여개,벽돌 1000여개,골프공 및 구슬 700개를 경찰과 시민들에게 무차별 투척했다. 남일당 인근에서 순대국집을 운영하고 있는 서모씨는 "새벽 2시께까지 농성자들이 화염병,시너 등을 투척했고 새총을 이용해 골프공 등을 던졌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에 경찰은 병력 300명을 투입한 뒤 농성자들을 계속 설득했으나 이들은 불응했다. 하루가 지난 20일 새벽 1시께에는 농성자들이 던진 화염병으로 화재가 나기도 했다. 화재 진화 후 경찰은 새벽 6시12분께 농성자들에게 물대포로 물을 뿌렸고 이어 45분께 경찰 특공대원들이 컨테이너 박스에 타고 10t짜리 기중기를 통해 건물 옥상에 진입했다.
용산경찰서 백동산 서장은 "철거민들의 화염병 투척으로 다시 화재가 발생했고 특공대원 6명이 화상을 입고 철수했다"며 "철수 즉시 소방차를 이용해 불을 껐으나 이후 수색 과정에서 사망자 6명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왜 많았나
경찰은 사망자가 발생한 직접적인 원인으로 폭력점거 시위 과정에서 농성자들이 일으킨 화재 때문이라고 밝혔다. 유리구슬과 벽돌 등을 새총을 이용해 경찰 및 행인들을 향해 발사했고 이는 공공의 안녕에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라 강제 진압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농성자들이 경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비좁은 망루 안에 몰려든 데다 이곳에 시너와 화염병 등 인화물질을 가득 비치한 것도 피해를 키우는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비좁은 공간에서 농성자들이 준비한 인화물질에 불이 붙으면서 화재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졌기 때문이다. 화재 발생과 동시에 검은 연기가 현장을 뒤덮고 불이 옥상 전체로 번진 것은 이 같은 상황을 방증해 준다.
경찰의 서투른 대응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성자들이 격렬히 저항하고 있고 인화물질이 널려있는 등 위험 요소가 상당한데도 이를 적절히 감안하지 않고 조기 진압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향후 수사 전망은
이날 오전 검찰은 용산 철거농성 현장 철거민 사망사건 특별수사본부를 꾸렸다. 검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 및 사망 원인,작전 최종 명령자 및 투입 경위 등 제반 의문 사항을 규명하기 위해 철저히 진상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박민제/이해성/김주완/김효정 기자 pmj53@hankyung.com
◆시간대별 상황은
진압작전을 지휘한 용산경찰서에 따르면 전철연 회원 등이 서울 용산에 있는 남일당 건물을 점거한 것은 19일 오전 5시께.이들은 "용산재개발 과정에서 보상금 규모가 적어 생계 유지가 안된다"며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점거 이후 옥상에 컨테이너 3단으로 된 망루를 설치했고 준비한 화염병 150개,염산병 40여개,벽돌 1000여개,골프공 및 구슬 700개를 경찰과 시민들에게 무차별 투척했다. 남일당 인근에서 순대국집을 운영하고 있는 서모씨는 "새벽 2시께까지 농성자들이 화염병,시너 등을 투척했고 새총을 이용해 골프공 등을 던졌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에 경찰은 병력 300명을 투입한 뒤 농성자들을 계속 설득했으나 이들은 불응했다. 하루가 지난 20일 새벽 1시께에는 농성자들이 던진 화염병으로 화재가 나기도 했다. 화재 진화 후 경찰은 새벽 6시12분께 농성자들에게 물대포로 물을 뿌렸고 이어 45분께 경찰 특공대원들이 컨테이너 박스에 타고 10t짜리 기중기를 통해 건물 옥상에 진입했다.
용산경찰서 백동산 서장은 "철거민들의 화염병 투척으로 다시 화재가 발생했고 특공대원 6명이 화상을 입고 철수했다"며 "철수 즉시 소방차를 이용해 불을 껐으나 이후 수색 과정에서 사망자 6명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왜 많았나
경찰은 사망자가 발생한 직접적인 원인으로 폭력점거 시위 과정에서 농성자들이 일으킨 화재 때문이라고 밝혔다. 유리구슬과 벽돌 등을 새총을 이용해 경찰 및 행인들을 향해 발사했고 이는 공공의 안녕에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라 강제 진압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농성자들이 경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비좁은 망루 안에 몰려든 데다 이곳에 시너와 화염병 등 인화물질을 가득 비치한 것도 피해를 키우는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비좁은 공간에서 농성자들이 준비한 인화물질에 불이 붙으면서 화재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졌기 때문이다. 화재 발생과 동시에 검은 연기가 현장을 뒤덮고 불이 옥상 전체로 번진 것은 이 같은 상황을 방증해 준다.
경찰의 서투른 대응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성자들이 격렬히 저항하고 있고 인화물질이 널려있는 등 위험 요소가 상당한데도 이를 적절히 감안하지 않고 조기 진압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향후 수사 전망은
이날 오전 검찰은 용산 철거농성 현장 철거민 사망사건 특별수사본부를 꾸렸다. 검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 및 사망 원인,작전 최종 명령자 및 투입 경위 등 제반 의문 사항을 규명하기 위해 철저히 진상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박민제/이해성/김주완/김효정 기자 pmj5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