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매각 무산으로 국내 인수·합병(M&A) 시장도 급격하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에 대한 첫 ‘딜’인 대우조선 매각이 무산되면서 향후 이어질 대형 M&A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 금융위기로 촉발된 국내외 경제위기로 인해 기업들이 M&A에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은 탓도 있다. 이미 쌍용건설 인수를 추진했던 동국제강이 인수를 포기했으며 금호생명,유진투자증권 등의 매각도 계속 지연되고 있다.

M&A 전문가들은 쌍용건설에 이어 대우조선 매각마저 무산됨에 따라 향후 하이닉스,현대건설,대우인터내셔널 등의 매각이나 공기업 민영화 작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매각이 무산됐던 대우일렉트로닉스,외환은행 등도 다시 M&A 시장에 나오기가 쉽지 않은 상태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 선(先) 매각 입장을 고수한다해도 하이닉스,현대건설 등 채권단 소유 기업의 매각이 지연될 수 밖에 없다.

M&A업계 관계자는 “매물로 나온 기업의 가치는 갈수록 떨어지는 데다 인수자금을 댈 재무적투자자(FI)나 전략적투자자(SI)들도 모두 발을 빼고 있다”며 “이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 성사 직전의 M&A가 무산된 것이며 앞으로의 딜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공기업 경영 효율화와 중소기업 정책 자금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 국책 금융기관 보유 기업의 지분 매각에 직접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대우조선 매각 실패에 따라 ‘산은 책임론’이 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조선,건설,반도체 등 여러 기업의 지분을 보유한 산은이 기업 매각을 지연시키지 않도록 정부의 책임있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