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검찰이 이번 사태를 놓고 수사에 착수한 만큼 한치 의혹 없는 결과가 조만간 나올 것"이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여러가지 사후 조치가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여권 일각에선 김 청장이 이르면 22일이나 23일 자진 사퇴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야당이 국정원장으로 내정된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무차별적인 정치 공세로 간주,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청장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공직생활을 해오면서 내가 한 일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리에 연연한 적이 없다"며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전날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청장은 그러나 "시위대는 화염병 등을 행인들에게 무차별 투척하고 화염병으로 옆 건물을 방화하는 등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시간을 지체하면 무고한 시민들이 생명과 재산에 대해 위협을 느낄 것이라고 판단해 공권력을 투입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2006년 미군기지 이전 관련 시위,2007년 이랜드 뉴코아 강남점 점거농성,2008년 기륭전자 장기 파업자 서울광장 조명탑 고공시위 당시에도 경찰 특공대를 투입한 사례가 있다"며 "이런 점거농성 시에는 안전을 위해 고도의 전문성을 가진 특공대를 투입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은 김 청장의 책임 여부와 관련,공방을 벌였다. 신지호 한나라당 의원은 "경찰이 무고한 불특정다수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과 계획적으로 불법을 저지르는 범죄자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을 동시에 충족시키지 못하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느냐"며 진압 작전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강기정 민주당 의원은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작전을 승인한 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행위"라며 "김 청장은 자연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영식/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