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인구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로를 보면 부동산의 미래가 보인다고 한다. 교통여건에 따른 접근성이 부동산의 가치를 크게 좌우한다는 의미이겠다. 과거에는 오지(奧地)였지만 도로나 철도가 잘 갖춰지면서 땅값이 올라가고,반대로 이전에는 요지였던 곳이 새 도로 건설로 맹지(盲地)로 전락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부동산의 장래는 결국 접근성과 그에 따른 효용성이나 선호도에 달린 셈이다.
부동산만이랴.자산과 관련되면 누구나 미래를 예측하려 한다. 미래전망의 정확성은 우리네 삶의 성패도 갈라놓는다. 부자되기나 사업성공도 일차적으로 미래예측에 달렸다. 사회발전과 국가경영에서도 미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래를 내다보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과 지표가 있겠지만 기본은 과학적인 인구전망이다. 예컨대 1960년대 연간 100만명에 달했던 한국의 출산인구는 2005년 43만명으로 줄었다. 산부인과 병원의 쇠퇴는 당연한 일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대형 주택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 역시 인구 분석에서 나온다. 2008년엔 생산가능인구 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7년에는 3명이서 1명을 부양해야 한다. 전체규모에다 연령별 · 성별 · 직업별 구성비 등 인구구조의 변화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 주택,도시와 산업,노동과 복지,국방과 종교 등 예외지대가 없다. 정책입안자들도 인구변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
인구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인구학(Demography)이다. 프랑스에서 학문적으로 이 개념이 나온 것이 150년 전이다. 인구학은 이제 중장기 정부정책과 기업의 장기발전 전략 수립에 필수 요소가 됐다.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을 포함한 자산시장만 해도 인구학적 전망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향후 10년간 사회변화'분석은 이런 차원에서 의미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부터,절대인구는 2018년부터 줄어든다. 이는 우리사회에 수많은 숙제를 제시한다. 모자라는 생산인력을 어디서 도입할지,여자까지 군복무를 시킬지,국민주택 기준은 줄일지 늘릴지….결코 '먼 훗날' 일이 아니다. 지금 하루하루가 힘들다지만 한편으로는 차분히 미래를 준비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허원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
부동산만이랴.자산과 관련되면 누구나 미래를 예측하려 한다. 미래전망의 정확성은 우리네 삶의 성패도 갈라놓는다. 부자되기나 사업성공도 일차적으로 미래예측에 달렸다. 사회발전과 국가경영에서도 미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래를 내다보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과 지표가 있겠지만 기본은 과학적인 인구전망이다. 예컨대 1960년대 연간 100만명에 달했던 한국의 출산인구는 2005년 43만명으로 줄었다. 산부인과 병원의 쇠퇴는 당연한 일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대형 주택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 역시 인구 분석에서 나온다. 2008년엔 생산가능인구 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7년에는 3명이서 1명을 부양해야 한다. 전체규모에다 연령별 · 성별 · 직업별 구성비 등 인구구조의 변화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 주택,도시와 산업,노동과 복지,국방과 종교 등 예외지대가 없다. 정책입안자들도 인구변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
인구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인구학(Demography)이다. 프랑스에서 학문적으로 이 개념이 나온 것이 150년 전이다. 인구학은 이제 중장기 정부정책과 기업의 장기발전 전략 수립에 필수 요소가 됐다.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을 포함한 자산시장만 해도 인구학적 전망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향후 10년간 사회변화'분석은 이런 차원에서 의미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부터,절대인구는 2018년부터 줄어든다. 이는 우리사회에 수많은 숙제를 제시한다. 모자라는 생산인력을 어디서 도입할지,여자까지 군복무를 시킬지,국민주택 기준은 줄일지 늘릴지….결코 '먼 훗날' 일이 아니다. 지금 하루하루가 힘들다지만 한편으로는 차분히 미래를 준비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허원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