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제 산적한 포스코 정준양호(號).경기침체 돌파+민간기업 독립성 확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트 이구택 체제’를 이끌어갈 차기 포스코 회장 후보로 정준양 포스코건설 사장이 선임됐다. 국내 시가총액 2위 기업인 포스코의 새 수장에 오르면서 ‘정준양 시대’를 열게 된 것이다.
하지만 총자산 38조4960억원(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재계 서열 6위인 포스코를 이끌 정 사장의 어깨는 무겁기만하다. 악화된 철강시황 속에서 포스코의 위기 돌파에 앞장서야 하는 동시에 민간기업으로서의 위상도 재정립해야 하는 숙제를 않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가 중장기 경영 목표를 순조롭게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사다.
포스코의 지난해 매출(연결 재무제표 기준)은 41조7190억원,영업이익은 7조1900억원. 사상 최대 실적이다. 그러나 최근 세계 철강 수요가 올해 14%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포스코도 1분기 추가 감산을 검토하고 있을 정도로 시황은 악화되고 있다.
정 사장은 철강업계의 5년 호황이 끝난 시점에서 포스코호의 선장으로서 이 같은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난제를 떠안게 된 것이다. 여기다 포스코의 중장기 생존전략을 위한 해외 기업 인수·합병(M&A)과 자원개발 투자 확대도 정 사장의 몫이 됐다.
포스코는 이미 임원 연봉의 10%를 반납키로 하는 등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다. 포스코는 각종 비용을 작년 보다 20~30% 줄이고 저가 원료 구매 확대와 구매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원가를 연간 1조원가량 절감할 계획이다. 이는 철강수요 감소와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실적 악화를 막기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에 따라 정 사장은 비상경영체제를 유지하면서 포스코의 생존전략을 짤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투자금액을 지난해 3조4000억원에서 6조원으로 늘릴 정도로 공격적인 경영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같은 투자를 통해 2~3년 뒤 철강경기가 회복됐을 때 경쟁사를 이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정 사장의 주된 임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포스코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회사를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 구도를 정착시켜놨기 때문에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행보에 큰 걸림돌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사장은 글로벌 철강시장에서 포스코의 생존방안을 마련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전문경영인으로서의 독립성 확보’라는 숙제도 풀어야 한다.
이미 김만제 전 회장은 김대중 정부 출범 뒤,유상부 전 회장은 노무현 정부 출범 뒤 임기를 못 채우고 중도 하차한 전례가 있다. 이번에 이구택 회장마저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정치적 외풍 논란에 휩싸인채 자진 사퇴했다.
정 사장이 이 같은 외풍 논란을 잠재우고 포스코를 실질적인 민간기업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게 포스코 안팎의 요구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민영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통제기업이란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내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는 게 정 사장의 가장 큰 숙제 중에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사장은 이번에 신임 회장 후보로 선임됐지만 현 이구택 회장의 잔여임기(내년 2월까지)를 채우는 ‘한시적인 최고경영자(CEO)’라는 멍에를 안고 있다. 내년 초에 다시 외풍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결국 포스코를 이끌 새로운 사령탑으로서 입지를 다질 지, 아니면 1년짜리 한시적인 CEO로 남을 지 여부는 정 사장의 몫으로 남게 됐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하지만 총자산 38조4960억원(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재계 서열 6위인 포스코를 이끌 정 사장의 어깨는 무겁기만하다. 악화된 철강시황 속에서 포스코의 위기 돌파에 앞장서야 하는 동시에 민간기업으로서의 위상도 재정립해야 하는 숙제를 않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가 중장기 경영 목표를 순조롭게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사다.
포스코의 지난해 매출(연결 재무제표 기준)은 41조7190억원,영업이익은 7조1900억원. 사상 최대 실적이다. 그러나 최근 세계 철강 수요가 올해 14%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포스코도 1분기 추가 감산을 검토하고 있을 정도로 시황은 악화되고 있다.
정 사장은 철강업계의 5년 호황이 끝난 시점에서 포스코호의 선장으로서 이 같은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난제를 떠안게 된 것이다. 여기다 포스코의 중장기 생존전략을 위한 해외 기업 인수·합병(M&A)과 자원개발 투자 확대도 정 사장의 몫이 됐다.
포스코는 이미 임원 연봉의 10%를 반납키로 하는 등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다. 포스코는 각종 비용을 작년 보다 20~30% 줄이고 저가 원료 구매 확대와 구매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원가를 연간 1조원가량 절감할 계획이다. 이는 철강수요 감소와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실적 악화를 막기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에 따라 정 사장은 비상경영체제를 유지하면서 포스코의 생존전략을 짤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투자금액을 지난해 3조4000억원에서 6조원으로 늘릴 정도로 공격적인 경영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같은 투자를 통해 2~3년 뒤 철강경기가 회복됐을 때 경쟁사를 이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정 사장의 주된 임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포스코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회사를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 구도를 정착시켜놨기 때문에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행보에 큰 걸림돌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사장은 글로벌 철강시장에서 포스코의 생존방안을 마련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전문경영인으로서의 독립성 확보’라는 숙제도 풀어야 한다.
이미 김만제 전 회장은 김대중 정부 출범 뒤,유상부 전 회장은 노무현 정부 출범 뒤 임기를 못 채우고 중도 하차한 전례가 있다. 이번에 이구택 회장마저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정치적 외풍 논란에 휩싸인채 자진 사퇴했다.
정 사장이 이 같은 외풍 논란을 잠재우고 포스코를 실질적인 민간기업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게 포스코 안팎의 요구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민영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통제기업이란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내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는 게 정 사장의 가장 큰 숙제 중에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사장은 이번에 신임 회장 후보로 선임됐지만 현 이구택 회장의 잔여임기(내년 2월까지)를 채우는 ‘한시적인 최고경영자(CEO)’라는 멍에를 안고 있다. 내년 초에 다시 외풍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결국 포스코를 이끌 새로운 사령탑으로서 입지를 다질 지, 아니면 1년짜리 한시적인 CEO로 남을 지 여부는 정 사장의 몫으로 남게 됐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