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민정 비상대책회의'가 어제 공식 출범하고 발족선언문을 발표했다. 노사간 고통분담을 통한 일자리 유지 등 고용안정대책과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방안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비상대책회의는 다섯 차례의실무협의를 진행한 뒤 대표자회의를 거쳐 이달 말까지 합의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번 비상대책회의에는 노사대표인 경총과 한국노총은 물론 정부부처와 시민사회단체 종교계 학계 등도 폭넓게 참여해 기대가 크다. 지금이야말로 과거 어느 때보다도 각 사회 · 경제 주체의 적극적 역할과 희생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국민들이 공감(共感)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만들어주기 바란다.

비상대책회의가 무엇보다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은 일자리를 지켜내는 일이다. 취업자수는 지난해 말부터 이미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앞으로는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게 불을 보듯 뻔한 형편이다. 지난달 수출이 32%나 급감하고,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은 올해 우리나라 성장전망치가 마이너스 4%로 추락한 점만 보더라도 이는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생산 · 판매 물량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고용을 유지하려면 있는 일감을 나누는 잡셰어링 외에 달리 길이 있을 수 없다. 임금과 근로시간을 줄이는 등 근로자들의 고통분담이 필수적이라는 뜻이다. 기업들 역시 어렵기 짝이 없는 판국에 일방적으로 일자리 유지만 요구해서는 말이 안된다. 따라서 비상대책회의는 노사간 합리적 고통분담이 이뤄지고 최근 일부 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임금삭감 임금반납 등의 움직임이 보다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강조해 둘 것은 민노총 또한 동참해야 한다는 점이다. 민노총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기업구조조정 중단,노동시간을 단축할 경우 임금삭감액 전액 지원,비정규직 200만명의 정규직 전환,상장사 사내유보금의 10%를 고용세로 징수할 것 등을 요구했지만 누가 봐도 무리한 떼쓰기에 불과하다. 기업과 나라 재정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데다 고통분담 의지도 전혀 없는 까닭이다. 민노총은 지금이라도 억지 주장을 철회(撤回)하고 비상대책회의에 참여해 사회적 책무를 다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