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종교계.사회원로 대거 참여한 비상대책회의 발족
이달 23일까지 `고통분담 합의문' 도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민정 비상대책회의가 3일 오후 3시 서울 노사정위원회 대회의실에서 발족식을 열고 고통분담의 대타협을 위한 한달간의 실무협의에 들어갔다.

각 경제주체들이 미증유의 경제난을 체감하고 있는 탓인지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직후의 노사정 비상시국 회의체보다 덩치가 더욱 커졌다.

대책회의는 발족 선언문에서 "한국경제가 위기에 직면했다는 인식을 함께 한다"며 "노사민정 각 주체는 개별 이익보다는 국민경제 전체를 생각하는 대승적 견지에서 사회적 합의를 이뤄 경제위기 극복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대책회의는 "사회적 합의가 산업현장 전반은 물론 사회 구석구석까지 확산돼 사회통합을 이룸으로써 세계 일류 국가 도약의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대책회의는 노사간 고통분담을 위한 일자리 유지와 나누기 등 고용안정대책,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방안, 사회적 합의의 전파와 정부지원책 등 의제를 두고 5차례 실무협의와 1차례 대표자 회의를 거쳐 이달 23일까지 대타협을 도출할 계획이다.

대책회의에는 노사정 외에 시민단체 활동가와 종교계, 학계 인사, 사회원로 등이 대거 참여하는 등 1998년 외환위기 때 합의를 이룬 노사정의 비상시국 회의체보다 외연이 크게 확장됐다.

이는 위기의 일차 희생양이 되는 비정규직 노동자와 영세 자영업자 등 소외계층을 대변할 목소리를 확보하려면 민간의 참여가 절실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노사 대표로는 한국노총과 한국경영자총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5단체가 참석했다.

시민단체로는 바른사회시민회의, 한국YMCA전국연맹, 여성단체협의회, 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오는 6일 자체 회의를 통해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종교계에서는 한국주교회의,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한불교조계종이 참석해 천주교와 개신교, 불교를 대표했으며, 사회원로로는 이세중 전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 김수곤 경희대 명예교수, 성대석 언론인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 대표로는 이영희 노동부 장관과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장관, 노사정위원회 김대모 위원장, 기획재정부 허경욱 차관, 지식경제부 임채민 차관이 자리를 함께 했다.

대책회의 의장에 선출된 이세중 전 변협 회장은 "모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좋은 열매를 맺도록 노사민정의 이해관계를 떠나 공평한 입장에서 회의를 진행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노총과 함께 노동계를 양분하는 민주노총은 "협의가 정부와 재계의 뜻대로 진행될 것이 분명하다"며 대책회의에 불참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