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공식 취임식을 열고 업무를 시작한 가운데 첫날부터 그의 발언에 따라 국내 증시에서 업종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이 2기 행정부의 미 백악관 업무 첫날 '파리 기후협약' 탈퇴를 공식화하고, 전기차를 우대하던 보조금 폐지 검토를 지시하자 관련주 주가가 일제히 널뛰기 하고 있다. 2차전지·친환경 '날벼락'21일 오전 11시30분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5.4%), POSCO홀딩스(-4.98%), 포스코퓨처엠(-10.33%), 에코프로머티(-8.42%), 엘앤에프(-6.86%), LG화학(-5.54%), 삼성SDI(-5.34%), SK이노베이션(-4.64%), 에코프로비엠(-10.43%), 에코프로(-7.11%), 엔켐(-8.58%)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락하고 있다.친환경 관련주들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탄소 포집 관련주인 그린케미칼은 전 거래일 대비 8.85% 급락세다. 한화솔루션은 7.02% 떨어지고 있고,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4.09%, SK오션플랜트는 7.21%씩 주저앉았다.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저탄소,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는 녹색 산업은 힘을 얻지 못하리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배출가스 규제와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포함된 바이든 행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끝내겠다고 밝혔다. 또 지지자들 앞에서 파리기후협정 재탈퇴를 비롯해 바이든 행정부의 조치를 무효화하는 78개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그는 이날 행정명령 서명 전 연설에서 파리 기후협약을 두고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강도질"이라며 "미국은 중국이 마음껏 오염을 배출하는 동안 미국 기업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재임 때도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지표들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해상운송료 지표가 올들어 15%가량 빠졌고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해 ‘닥터 코퍼’로 통하는 구리 가격도 내리세를 보였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교역량이 급감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됐다. '달러 효자' 역할을 하는 해운사 실적도 훼손되는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도 번지고 있다.21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글로벌 해상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 대비 159.86포인트 내린 2130.82로 집계됐다. 올들어 14.9%가량 하락했다. SCFI가 2100선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11월 22일 이후 8주 만에 처음이다. SCFI는 지난해 12월에 2400선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내림세를 이어가는 중이다.해상운송료 지표가 빠지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직후 전 세계 교역량이 급속도로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날 임기를 시작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수입품에 60%,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 같은 관세 부과는 보복 관세를 불러오는 등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그만큼 세계 교역량도 큰 폭 위축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로 세계 교역량이 0.36~3.60%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출 주도국인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46~1.14%포인트 깎일 것이라고 분석했다.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7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내놨다. IMF는 “미국 새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세계 경제의
금융당국이 기업의 증시 입성과 퇴출 관련 제도 '대수술'에 나선다.. 공모주 청약 과열 현상, '좀비 상장사' 등 불필요한 시장 왜곡을 줄여 국내 증시의 자금 배분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 가치 기반 투자 환경을 조성한다는 취지다. 주가지수 좀먹는 '좀비 상장사' 퇴출 속도2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등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주식시장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그간 국내 증시는 해외 주요 증시에 비해 상장은 쉽고 퇴출은 오래 걸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고 했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에 연평균 기업 99곳(리츠·스팩 등 제외)이 상장한 반면, 같은 기간 중 상폐 기업은 연평균 25곳에 그쳤다는 설명이다. 이때문에 지난 5년간 국내 증시 상장사 수는 17.7% 증가했다. 동기간 미국(3.5%), 일본(6.8%), 대만(8.7%) 등 상장사 증가폭을 훨씬 웃돈다. 이런 와중 상장폐지 절차가 길다보니 거래가 되지 않는 채 증시에 들어앉아만 있는 기업도 많다. 작년 말 기준 코스피 17곳, 코스닥 66곳 등이 거래 정지 상태다. 이들 기업은 주가가 움직이지 않지만 전체 시총 계산엔 포함돼 주가지수 발목을 잡는 효과를 낸다는 게 당국의 지적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노력을 하지 않고 성장 가능성이 낮은 기업까지 상장을 유지하면서 시장 자금을 나눠 가져가고 있다보니 증시 경쟁력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며 "상장·퇴출 제도를 두루 보완해 국내 증시의 자본 배분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 신뢰를 제고하고자 한다&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