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펀드가 금융회사 영업창구에서 서로 다른 위험등급으로 판매되는 혼선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이 개선방안을 찾고 있다. 펀드를 출시할 때 자산운용사가 매기는 등급을 판매시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 같은 펀드인데 위험등급은 판매사별 제각각
☞ 해외 주식형펀드 61세이상 가입 어려워져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4일 "은행 증권 등 펀드 판매사들이 '표준투자권유준칙'을 준용해 펀드의 위험등급을 자의적으로 결정함에 따라 동일펀드가 판매사별로 다른 등급으로 팔리는 비합리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혼선을 막기 위해 운용사가 펀드를 출시할 때 매기는 위험등급을 판매시에 그대로 적용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펀드의 위험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운용사가 펀드를 등록할 때 이미 5단계로 위험등급을 분류하는 만큼 이를 따르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표준투자권유준칙을 업계 자율적으로 만든 탓에 위험등급 문제를 꼼꼼히 챙겨보지 못했다"며 "판매사가 별도의 등급을 정하려는 이유를 들어본 뒤 조만간 위험등급을 통일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금융위원회 관계자도 "동일한 펀드가 서로 다른 위험등급표를 달고 판매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본시장통합법은 자산운용사들이 신규 펀드를 등록할 때 초고위험 고위험 중간위험 저위험 무위험의 5단계로 투자위험을 분류해 투자설명서와 증권신고서에 명기하도록 정하고 있다. 기존 펀드는 3개월 내에 등급을 새로 평가해야 한다. 지금도 자산운용사들은 펀드의 투자위험을 분류하고 있지만 '최소 5단계 이상'으로만 정해져 있어 회사마다 기준이 달라 실효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