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본 정부는 지난해 도야코에서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야심찬 작품 하나를 선보였다. '탄소 제로 하우스(zero emission house)'이다. 세키스이사가 설치한 이 주택은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전량 자체 조달하고,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신개념 친환경 주거공간이다. 환경 · 에너지 관련기술이 집약된 이 집 하나로 일본은 세계 정상들을 대상으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그린 마케팅'효과를 거뒀다.

#2.독일 동부 작센-안할트주의 작은 도시 탈하임.이곳 한적한 농촌마을은 올해로 설립 10년째를 맞은 태양전지업체 큐셀이란 벤처기업 덕분에 첨단산업의 메카로 변신했다. 큐셀이 3년여 연구개발을 거쳐 태양전지 제품을 출시한 이후 매출액과 임직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2002년 1730만유로(약 235억원)였던 매출과 82명에 불과했던 임직원 수는 지난해 각각 8억유로(1조800억원),1700여명으로 불어났다.

지구촌 키워드가 '녹색'으로 바뀌고 있다. 환경과 경제,'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세계 각국의 '그린 뉴딜' 정책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고,'녹색'에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잡으려는 기업들의 경쟁이 불붙었다.

한때 정부 보조금에 '연명'했던 태양광 풍력 등 신 · 재생 에너지들이 석유 등 화석연료의 발전단가와 비슷해지는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가 멀지 않았다는 관측도 잇따르고 있다. '저탄소 · 녹색성장' 테마는 환경보호란 대의명분 차원을 넘어,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국가와 기업의 백년대계를 판가름할 핵심 아젠다로 자리잡았다.

EU(유럽연합)는 회원국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기준으로 신 · 재생 에너지 사용 목표를 설정,이행 여부를 점검할 정도로 기후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 영국은 '탄소제로형 국가'를 선언하고 2050년까지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를 추방하기로 했다. 바라트 시에는 '탄소제로 도시'가 들어선다. 2016년부터 이곳의 모든 신규 주택은 탄소배출량이 제한된다.

독일은 신 · 재생 에너지법(EEG)에 따라 풍력과 태양광,바이오 매스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해당 지역 전력회사가 2024년까지 의무적으로 매입토록 하고 있다. 미국은 정부가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상용화는 민간에 맡기는 '투트랙( two track)' 전략을 펴고 있다.

일본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점차적으로 줄여 2050년엔 현재보다 60~80%까지 줄인다는 '후쿠다 비전'을 선언했다. 한국도 지난해 8월 2012년까지 5년간 총 5조원을 녹색기술 확보를 위해 관련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범사업을 실시하는 등 저탄소 녹색성장의 청사진을 내놓았다.

각국 정부는 물론 기업들도 1800년대 중반 미국 서부에 불어닥쳤던 '골드 러시'에 비견되는 녹색 비즈니스 경쟁으로 한껏 달아올랐다.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무한대인데다,이제 본격 성장기에 접어든 관련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은 점도 '그린 러시'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