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토의 모든 영역과 건축물에 대한 3차원의 입체적인 정보가 구축된다. 이를 통해 대형 도로나 터널,공항건설은 물론 간척사업 등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정밀하게 설계 · 시행될 수 있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5일 국가 사이버 인프라 구축과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과 '공간정보산업진흥법' 제정안을 6일 공포한다고 밝혔다. 국가공간정보법은 국토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등에 흩어져있는 공간정보체계를 통합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구축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범정부 차원의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효율적인 국가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민들이 최신 자료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국가공간정보 인프라가 구축되면 3차원 지형도를 바탕으로 각종 공사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정밀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가상으로 다리를 놓고 건축물을 짓는 등 사이버 도시를 만드는 작업이 쉬워져 최적의 설계를 할수 있게 되는 셈이다. 부실 설계나 잦은 변경에 따른 예산낭비를 막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2차원적인 도면에 정보를 담고 있는 기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3차원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실제 도시나 지형지물이 입체적인 이미지로 구축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은 관련 기술개발사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등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국토부는 공간정보산업진흥법 시행으로 연간 1조7000억원 규모인 우리나라 공간정보산업시장이 2012년에는 11조원 규모로 확대되고 연관 분야에서 2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