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간부 '性추문'…강경-온건파 주도권 싸움으로 번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노총 핵심 간부의 동료 여성 조합원 성추행 사건이 조직 내 강경 · 온건파 간 헤게모니(주도권) 싸움을 심화시키고 있다. 민주노총 간부 K씨는 지난해 12월 여성 조합원 성추행 사건으로 최근 보직해임됐다. 피해 여성은 5일 이 간부를 검찰에 고소했고 민주노총의 '조직적인 은폐의혹'에 대해서도 검찰에 수사를 요청했다. 이 간부는 조직 내 온건파인 국민파 소속으로 같은 계파 이석행 위원장의 핵심 참모 중 한 명이다.
민주노총 내 지도부를 장악하고 있는 국민파는 중앙파,현장파 등 강경파와 투쟁노선을 둘러싸고 마찰음을 빚어왔다. 민노총 주도권 다툼은 노동운동과 노사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이 위원장의 온건노선에 못마땅해 있던 강경파들은 이번 사건을 지도부를 물갈이 할 절호의 찬스로 여기고 있다. 이들은 현 집행부가 도덕적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집행부 내 일부 강경파들은 "민주노총 간부로서 도덕적 책임을 지겠다"며 사표를 제출,'총사퇴 바람잡기'에 들어간 상태다.
그러나 지도부는 "이번 사건은 개인적인 문제이지 조직 전체의 도덕적 문제가 아니다"고 일축했다.
우문숙 민주노총 대변인은 "이 사건을 지도부의 진퇴문제로 연결시키려는 의도는 지나친 비약"이라며 "어제 간부들이 서울구치소에 구속수감 중인 이 위원장을 만나 총사퇴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강경파들의 지도부 흔들기는 쉽사리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경파들은 현 지도부가 비정규직법 개정 등 'MB악법'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여기에다 온건파 중심의 지도부는 손 · 발이 꽁꽁 묶여 있는 상태다. 핵심 지도부가 불법파업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거나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쇠고기 반대 불법파업을 주도하고 뉴코아 불법파업 사태에 개입한 혐의로 구속됐다.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진영옥 수석부위원장과 이용식 사무총장도 비슷한 혐의로 구속된 뒤 각각 지난해 7월과 9월에 보석으로 석방돼 자유스러운 몸이 아니다.
한편 진 수석부위원장은 "이영희 노동부 장관이 민주노총을 찾아와 대화를 나눈다면 노사민정 대책회의에 참여하겠다"며 보다 진전된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우문숙 대변인은 "진 수석부위원장의 개인적 생각"이라며 "민주노총의 공식입장은 참여 불가로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
민주노총 내 지도부를 장악하고 있는 국민파는 중앙파,현장파 등 강경파와 투쟁노선을 둘러싸고 마찰음을 빚어왔다. 민노총 주도권 다툼은 노동운동과 노사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이 위원장의 온건노선에 못마땅해 있던 강경파들은 이번 사건을 지도부를 물갈이 할 절호의 찬스로 여기고 있다. 이들은 현 집행부가 도덕적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집행부 내 일부 강경파들은 "민주노총 간부로서 도덕적 책임을 지겠다"며 사표를 제출,'총사퇴 바람잡기'에 들어간 상태다.
그러나 지도부는 "이번 사건은 개인적인 문제이지 조직 전체의 도덕적 문제가 아니다"고 일축했다.
우문숙 민주노총 대변인은 "이 사건을 지도부의 진퇴문제로 연결시키려는 의도는 지나친 비약"이라며 "어제 간부들이 서울구치소에 구속수감 중인 이 위원장을 만나 총사퇴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강경파들의 지도부 흔들기는 쉽사리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경파들은 현 지도부가 비정규직법 개정 등 'MB악법'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여기에다 온건파 중심의 지도부는 손 · 발이 꽁꽁 묶여 있는 상태다. 핵심 지도부가 불법파업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거나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쇠고기 반대 불법파업을 주도하고 뉴코아 불법파업 사태에 개입한 혐의로 구속됐다.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진영옥 수석부위원장과 이용식 사무총장도 비슷한 혐의로 구속된 뒤 각각 지난해 7월과 9월에 보석으로 석방돼 자유스러운 몸이 아니다.
한편 진 수석부위원장은 "이영희 노동부 장관이 민주노총을 찾아와 대화를 나눈다면 노사민정 대책회의에 참여하겠다"며 보다 진전된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우문숙 대변인은 "진 수석부위원장의 개인적 생각"이라며 "민주노총의 공식입장은 참여 불가로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