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호 금융투자협회장 "CMA 가입절차 너무 까다롭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MA는 은행통장과 같은데 투자성향 진단까지 필요한지…
"종합자산관리계좌(CMA)는 가입자 입장에서 은행 통장과 마찬가지인데 판매사들이 규제를 너무 까다롭게 적용하는 것 같다. "
황건호 초대 금융투자협회장은 10일 기자들과 만나 일부 증권사가 자본시장통합법 시행과 동시에 CMA 가입 고객에 대해서도 투자성향 진단을 실시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황 회장은 "자통법은 규제 완화와 투자자 보호라는 큰 축을 기반으로 하는데 협회는 법 시행 과정에서 두 가지 측면이 모두 충족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법 시행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해 추가적인 규제 완화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자통법이 국내 자본시장에서 무리 없이 정착할 것이란 자신감도 내비쳤다. 황 회장은 "일본에선 우리의 자통법과 비슷한 '금융상품거래법'이 시행된 2007년 이후 펀드 판매가 급감한 사례가 있지만 국내서는 아직 이런 조짐이 없다"며 "자통법은 자유로운 상품 개발과 업종 간 장벽을 허물어 자본시장의 질적 도약을 가능케 하는 제도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황건호 초대 금융투자협회장은 10일 기자들과 만나 일부 증권사가 자본시장통합법 시행과 동시에 CMA 가입 고객에 대해서도 투자성향 진단을 실시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황 회장은 "자통법은 규제 완화와 투자자 보호라는 큰 축을 기반으로 하는데 협회는 법 시행 과정에서 두 가지 측면이 모두 충족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법 시행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해 추가적인 규제 완화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자통법이 국내 자본시장에서 무리 없이 정착할 것이란 자신감도 내비쳤다. 황 회장은 "일본에선 우리의 자통법과 비슷한 '금융상품거래법'이 시행된 2007년 이후 펀드 판매가 급감한 사례가 있지만 국내서는 아직 이런 조짐이 없다"며 "자통법은 자유로운 상품 개발과 업종 간 장벽을 허물어 자본시장의 질적 도약을 가능케 하는 제도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