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 고령화 사회의 경제 효과가 아닌 것은?

① 벤처 주식보다는 배당주식이 주목받는다.
② 장례 관련 사업은 그나마 활력이 있다.
③ 옷 가게의 진열대에서 아동 의류가 점차 사라진다.
④ 화장품 가게는 현상 유지를 한다.
⑤ 빈부격차가 더욱 벌어진다.


[ 해설 ] 고령 화 사회(Aging Society)란 총인구 중 65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의미한다. 인구의 고령화 요인은 바로 출생률 저하와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사망률이 떨어지는 데 있다. 이러한 평균 수명의 연장은 인간들의 한결 같은 바람이기는 하지만 이로 인한 각종 질병이나 빈곤 고독 무직업과 같은 사회적 경제적 과제가 발생한다.

①번의 경우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사람들은 보다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가치에 투자를 하는 성향을 띠게 된다. 위험성이 있는 벤처주식보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이익을 통해 배당을 잘 주는 주식이 상대적으로 인기가 있다.

②번처럼 노인 인구가 많아지면 자연스레 장례와 관련된 사업이 활력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고령화 사회는 필연적으로 저출산을 동반하므로 출생률 저하에 따른 아동의류의 소비 감소와 함께 ③번과 같이 아동 의류 판매가 줄어든다.

고령화 사회는 또한 상대적으로 부의 축적 기회가 줄어듬으로 인해 빈부 격차가 더욱 벌어질 소지를 갖고 있다.

반면 ④번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주요 소비계층은 젊은 층이지만 앞으로 점차 젊은 세대의 감소로 인해 화장품 가게들 역시 현상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더욱이 지속되는 출생률 저하로 인해 향후 잠재적 고객의 수마저 감소할 것이므로 화장품 가게들의 전망도 밝지 않은 편이다.

정답 ④, 정답률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