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간스탠리 "아직 한국 주식 매수 타이밍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간스탠리는 한국 주식을 사기에는 아직 이른 시점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박찬익 모간스탠리 한국 리서치 헤드는 1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한국 주식 매수 타이밍이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지금은 아니다"고 밝혔다.
박 헤드는 "증시가 주목해야 할 두가지 지표는 금리사이클과 기업실적"이라며 "현재 금리는 하락 사이클에 있고 기업실적과 관련해서는 시장이 거시경제 변수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식 매수에 적정한 시기는 미국과 한국 거시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금리 사이클이 바닥을 형성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1%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올해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약세를 벗어나 1150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박 전무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기업가치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환율"이라며 "원화 강세에 따라 올해 외국인은 한국시장에서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매도보다는 매수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박찬익 모간스탠리 한국 리서치 헤드는 1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한국 주식 매수 타이밍이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지금은 아니다"고 밝혔다.
박 헤드는 "증시가 주목해야 할 두가지 지표는 금리사이클과 기업실적"이라며 "현재 금리는 하락 사이클에 있고 기업실적과 관련해서는 시장이 거시경제 변수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식 매수에 적정한 시기는 미국과 한국 거시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금리 사이클이 바닥을 형성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1%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올해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약세를 벗어나 1150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박 전무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기업가치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환율"이라며 "원화 강세에 따라 올해 외국인은 한국시장에서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매도보다는 매수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