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TESAT] 오바마의 경기대책의 '숨은 논리' 이해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문제
다음 칼럼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미국의 오바마 차기 정부와 민주당은 2차 경기부양책으로 5000억달러 이상의 패키지를 고려하고 있다. 이미 부시 행정부는 1150억달러 규모의 1차 경기부양책을 세금 환급 위주로 실시했다. 대부분의 세금 환급은 5~7월 사이에 이뤄졌다.
그 결과는 어떨까.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개인의 가처분소득은 세금 환급을 받은 5~7월 급격히 늘어난 반면 소비는 세금 환급을 받은 이후 눈에 띌 만한 성장세를 보이지 않았다. 세금 환급과 소비 촉진은 별 연관관계가 없기에 실패한 정책이다. 일시적인 세금 환급은 밀턴 프리드먼의 항상소득이론이나 프란코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이론같이 아주 기본적인 경제이론을 무시한 정책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시적인 소득 증가가 아닌 장기적인 소득 증가에서 눈에 띌 만한 소비 증가가 이뤄진다. 그렇다면 오바마 정부가 취해야 할 2차 경기부양책은 어떤 것이 돼야 할까. 먼저 현재의 세율이 영구적이라는 약속을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오바마의 공약대로 소규모 사업체와 자본소득 배당소득에 대한 세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 세율을 유지한다면 효과적인 경기부양책이 될 것이다. 또 공약했던 대로 연소득 8000달러 이하 저소득층에 6.2%의 소득공제를 실시해야 한다. 단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구적이어야 한다.
(지면 사정상 본문 일부는 생략) -한경 2008년 11월28일자 A42면 월드투데이-』
-다음 중 위 글로부터 적절하게 추론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미국 정부는 1차 경기부양책에서 일시적인 세금환급 정책을 사용했다.
② 밀턴 프리드먼과 프랭크 모딜리아니는 영구 감세안을 지지할 것이다.
③ 오바마는 자본소득이나 배당소득에 대해 세율을 높이는 내용의 공약을 제시했다.
④ 재정지출 확대보다 영구적인 감세를 통한 경기 부양이 더욱 중요하다.
⑤ 저소득층보다 부유층에 대한 감세가 더욱 효과적이다.
>> 해설
상황 판단 문제이다. 제시문이 길지만 경기대책의 핵심인 감세 정책에 대해 파악하고 있으면 정답을 찾는 게 어렵지 않다. 경제위기 와중에 각국 정부는 경쟁적으로 경기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감세냐 재정지출이냐 또는 영구 감세냐 일시적 감세냐 하는 문제는 학자들 간에 가장 뜨거운 논란을 부르고 있는 경기대책이다. 칼럼의 필자인 스탠퍼드대 경제학과 존 B 테일러 교수는 오바마 정부의 일시적인 감세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사람들이 정부 정책을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세금을 일시적으로 줄여서는 소비가 늘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시적으로 세금을 줄이면 부족한 재원을 보충하기 위해 정부가 다시 세금을 늘릴 것이라고 사람들이 예상하므로 내수가 살아나지 않는다는 것이 칼럼의 내용이다. 필자는 오바마 정부가 영구적인 감세 정책을 펴야 한다고 지적한다.
보기에서 미국 정부가 일시적인 세금 환급 정책을 사용했다는 ①번 보기와 밀턴 프리드먼이 영구 감세안을 지지할 것이라는②번 보기,오바마가 자본소득이나 배당소득에 대해 세율을 높이는 내용의 공약을 제시했다는 ③번 보기는 모두 제시문에 나와 있는 내용이다. 보기 ④ 역시 제시문 전체에서 주장하고 있는 내용이다. 하지만 부유층의 세금을 더 많이 줄여야 한다는 보기 ⑤는 필자의 주장이 아니다. 필자는 오히려 연소득 8000달러 이하의 저소득층에 대해 하루빨리 소득공제를 해줘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문제에 제시된 칼럼은 지난해 12월4일자 한국경제신문의 '읽을 만한 칼럼'에서 추천한 적이 있다. '읽을 만한 칼럼'과 '이 주일의 추천 도서' 등은 주로 시사문제를 경제이론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다룬 칼럼들이므로 테샛 준비생이라면 필히 읽어 두어야 한다. 오바마 정부는 대규모 감세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살아나지 않자 거듭 추가 대책을 내놓고 있다. 감세와 재정지출 문제에 대해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고 지적한 바 있다. 경기대책은 앞으로도 계속 논란이 될 전망이므로 이번 기회에 확실히 파악해 두자.
박주병 연구위원 jbap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