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그룹의 한국수력원자력은 17일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구조조정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원자력 비중 확대 정책에 따라 현장인력 확대가 필요한 한수원이 정부의 공기업 인력감축안에 끌려가듯 발을 맞추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수원은 이날 현재 재직중인 사원 가운데 5직급 이상 직원과 6직급,상근 촉탁및 청원 경찰 등을 상대로 오는 23일까지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한수원은 희망퇴직을 원하는 직원들의 신청을 최대한 받아들여 구조조정을 진행할 방침이다.

희망퇴직자에게는 기존 퇴직금 외에 20년 이상 근속자는 명예 퇴직금이, 20년 미만 근속자는 조기 퇴직금이 각각 지급된다. 또 명예 퇴직자들에게 지난해 임금인상을 반납한 재원 60억원으로 1억원 한도내에서 명예퇴직금의 70%까지 위로금을 지급하고, 조기 퇴직자들에 대한 위로금은 근속기간에 따라 3∼18개월분을 차등지급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현재 8000여명인 임직원 규모를 앞으로 3년간 10%이상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희망퇴직을 통해 조직의 인력순환을 활성화하고 효율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이같은 무조건적인 감원이 한수원 조직의 효율성과 역동성을 해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수원은 원자력 신규원전 건설 투자에 사용하기 위해 올 들어 총 8000억원의 회사채까지 발행한 터다.

투자는 확대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력을 줄이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한수원은 신월성, 신고리 등 6개 발전소를 새로 짓느라 현장인력이 부족해 해마다 200∼400명 규모로 채용해 왔다. 한수원은 그러나 지난해 신규 채용을 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원자력 비중 확대를 위해 인력과 돈이 더 필요한 한수원이 오히려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인력을 줄이려 하고 있다"며 "내부에서도 이같은 이유로 동요가 일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