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서비스선진화 서둘러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연구기관장들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지혜를 모아달라고 요청했다.

윤 장관은 18일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경제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세계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제 분야에 식견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기관장들에게 지혜를 빌리고자 이런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재정부 장관이 연구기관장들과 대규모로 회동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글로벌 경기 침체를 맞아 정부가 연구기관들의 위기 해법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오늘을 시작으로 연구기관장들을 자주 뵙도록 하겠다"면서 "나름대로 바쁘겠지만 정부와 소통을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간에 있는 연구기관장들의 아이디어와 지혜가 큰 도움이 되리라 본다.

어떤 대안이 경제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되는지 자유롭게 얘기해달라"고 요청했다.

윤 장관은 삼성경제연구소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마이너스로 수정한 것과 관련해 연구기관장들의 의견을 묻자 김종석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우리도 조만간 수정하려고 한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는 너무 비관적이다.

상반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현정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상반기에 경제가 어려울 것이며 하반기가 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채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은 "동유럽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세계 경제가 쉽사리 회복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특히 이날 모임에서는 연구원장들이 선제적 정책 대응의 필요성과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준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윤증현 장관은 "올해 이미 적자 편성을 했는데 추가 적자가 날 수 있어 재정 여건이 만만치 않지만 일자리 창출과 사회 안정망 구축을 위한 추경의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 연구원장들의 의견을 경청했다.

연구원장들은 올해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가 최악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또 추경과 관련해 실직 자영업자를 위한 일자리 중심의 사회 안전망, 취업을 위한 소득 보전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현금 지원과 바우처 방식을 검토할 것을 요청했다.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금융기관의 자본 확충을 지원하고 법 제도를 정비해야하며 구조조정시 일자리와 고용에 미치는 효과, 산업파급 효과도 고려해 균형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용 경색 문제는 중소기업 단위의 지원이 도움이 되며 한계기업을 제외해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비정규직법의 조속한 개정과 공공기관이 임금체계를 선도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했다.

서비스 산업 선진화가 잠재력과 내수비중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서둘러야 하며 추경은 빨리 해야 한다는 게 연구원장들의 한결같은 의견이었다.

이날 모임에는 재정부에서 윤 장관 외에 노대래 차관보, 윤종원 경제정책국장이, 연구기관에서는 현정택 KDI 원장, 박기성 노동연구원장, 박재하 금융연구원 부원장, 채욱 KIEP 원장, 김종석 한국경제연구원장, 원윤희 조세연구원장, 정기영 삼성경제연구소장, 김주형 LG경제연구원장, 박우규 SK경영경제연구소장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이준서 기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