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기 유망직종] 임상심리사 ‥ 우울증ㆍ스트레스 등 심리적 장애 치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심리치료사 '임상심리사'가 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불황기 유망직종으로 임상심리사를 추천했다. 임상심리사는 우울증,정신분열,강박증 등의 심리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사람이다. 심리치료사라고도 불린다. 심리적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심리적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인지 기능 △정서 상태 △성격 특성 △적성 등의 심리건강과 관련해 평가한다.
고용정보원은 임상심리사가 대폭 증가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향후 5년간 꾸준히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면서 이로 인해 스트레스 증가와 사회 부적응자 및 범죄자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에 따라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연스럽게 임상심리사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동안 주로 정신병원이나 상담소에서 활동했던 범위를 벗어나 학교,국가기관,기업으로 그 활동 범위가 넓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교도소,보호관찰소,사회복지기관 및 사회상담센터 수요도 늘고 있다. 이와 함께 개업을 통해 심리치료나 자문활동을 하는 임상심리사의 수도 증가 추세다. 이 밖에 이혼 상담이나 수감자들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 법원이나 교도분류직 등에서도 임상심리사를 채용하고 있어 임상심리사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처럼 수요는 느는 데 비해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선 장기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 점은 단점이다. 임상심리사를 양성할 대학과 수련기관이 한정돼 있다.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후 임상심리 관련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적인 수준의 임상 관련 공부를 마치거나 수련 또는 경력을 통해 임상심리사 관련 국가 및 민간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대학원의 석사 또는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후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으며,수련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실제 교육기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
임상심리사의 역할은 정신건강 등의 문제를 진단한 후 그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하지만 정신과 의사처럼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행할 수 없다. 장애의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임상심리사와 유사한 직업으로 상담전문가가 활동하고 있으나 임상심리사가 정신 및 행동장애,약물중독,청소년비행,가정생활 부적응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비해 상담전문가는 환자보다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보다 덜 심각한 정서 및 행동적 문제,스트레스 및 진로 · 직업상담,학업지도 및 대인관계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한다.
근무환경은 대부분 정규시간에 근무하지만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맞춰 근무하기도 한다. 근무 장소에 따라 파트타임이나 주 2~3일 근무하는 경우도 있다. 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 정신과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등과 한팀으로 함께 근무하기도 한다.
국가자격으로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주관하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및 2급,한국산업인력공단의 임상심리사 1급 및 2급이 있다. 민간자격으로는 임상심리학회의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이 있다.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평균임금은 3169만원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고용정보원은 임상심리사가 대폭 증가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향후 5년간 꾸준히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면서 이로 인해 스트레스 증가와 사회 부적응자 및 범죄자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에 따라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연스럽게 임상심리사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동안 주로 정신병원이나 상담소에서 활동했던 범위를 벗어나 학교,국가기관,기업으로 그 활동 범위가 넓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교도소,보호관찰소,사회복지기관 및 사회상담센터 수요도 늘고 있다. 이와 함께 개업을 통해 심리치료나 자문활동을 하는 임상심리사의 수도 증가 추세다. 이 밖에 이혼 상담이나 수감자들의 정신적 건강을 위해 법원이나 교도분류직 등에서도 임상심리사를 채용하고 있어 임상심리사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처럼 수요는 느는 데 비해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선 장기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 점은 단점이다. 임상심리사를 양성할 대학과 수련기관이 한정돼 있다.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후 임상심리 관련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적인 수준의 임상 관련 공부를 마치거나 수련 또는 경력을 통해 임상심리사 관련 국가 및 민간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대학원의 석사 또는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후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으며,수련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실제 교육기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
임상심리사의 역할은 정신건강 등의 문제를 진단한 후 그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하지만 정신과 의사처럼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행할 수 없다. 장애의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임상심리사와 유사한 직업으로 상담전문가가 활동하고 있으나 임상심리사가 정신 및 행동장애,약물중독,청소년비행,가정생활 부적응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비해 상담전문가는 환자보다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보다 덜 심각한 정서 및 행동적 문제,스트레스 및 진로 · 직업상담,학업지도 및 대인관계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한다.
근무환경은 대부분 정규시간에 근무하지만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맞춰 근무하기도 한다. 근무 장소에 따라 파트타임이나 주 2~3일 근무하는 경우도 있다. 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 정신과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등과 한팀으로 함께 근무하기도 한다.
국가자격으로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주관하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및 2급,한국산업인력공단의 임상심리사 1급 및 2급이 있다. 민간자격으로는 임상심리학회의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이 있다.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평균임금은 3169만원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