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ㆍ노무현 정부 1년…靑 참모진 비교] 盧 '386'ㆍPK군단 직할체제→李 '475', 관료ㆍ高大 약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창업 공신' 일부 중도하차…인적 리모델링 닮은꼴
이명박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즈음한 2009년 2월과 2004년 2월을 기준으로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의 연령,출신 지역 및 대학,경력 등을 비교해 보면 두 정권 간 차이점이 뚜렷이 드러난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40대가 된 '386세대'와 부산 · 경남(PK)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직할체제를 구축했다. 반면 MB정부의 청와대는 50대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정치권 인사보다는 관료들의 비중이 더 높아졌으며 고려대 출신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386' 대 '475'
노 전 대통령 집권 1년 때 PK 인사들의 비중은 비서관급 이상 54명 중 17명(31%)을 차지했다. 서울 9명(16%)의 약 두 배였다. 호남은 11명이었으며 대구 · 경북(TK)은 4명에 불과했다.
특히 민정 등 사정라인 요직에 PK 인맥을 집중 배치했다. 민정수석에 노 전 대통령의 고향(김해) 후배인 박정규 변호사를 기용했다. 인사검증과 공직사정을 맡았던 오정희 공직기강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동창이며 이호철 민정비서관도 부산 인맥이다. 윤광웅 국방보좌관과 권찬호 의전비서관도 부산상고 출신이다. 청와대 살림을 담당한 정상문 총무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의 고향 친구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22명(41%)으로 고려대(6명)의 4배 가까이 된다. 연령으론 당시 기준으로 40대(59%)가 50대(35%)보다 월등히 많다. 노무현 정권 탄생 과정에서 이른바 386세대들이 중심 역할을 한 것과 연관이 크다는 분석이다. 관료(30%)들의 비중이 높지만 정치권(24%) 출신도 적지 않다. 시민 · 농민단체(3명)나 노조간부(1명) 출신은 그리 많지 않았다.
반면 MB청와대의 특징은 비서관급 이상 49명 중 70년대 학번으로 '475세대'로 불렸던 50대가 29명(59%)을 차지하고 있어 40대(15명 · 31%)를 압도하고 있다. 출신 학교는 여전히 서울대(16명 · 33%)가 많지만 노 정권때보다 비율이 줄었고 고려대가 24%(12명)로 대폭 늘어났다. 지역은 서울이 15명(31%)으로 가장 많다. PK는 6명(12%)에 불과해 참여정부 때보다 훨씬 적었고 호남 9명,TK는 8명 등이었다. 영남이 호남보다 여전히 많다. 관료가 18명(37%)으로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정치권 출신은 5명(10%)으로 참여정부에 비해 크게 줄었다.
윤진식 경제수석을 제외하고 이 대통령과 개인적으로 오랫동안 인연을 맺어 온 참모는 별로 없다. 맹형규 정무수석,박형준 홍보기획관,이동관 대변인 등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은 대부분 대선 과정에서 'MB맨'이 됐다.
◆집권 1년간 핵심 물갈이
두 정권 모두 집권 1년 동안 대대적 인적 리모델링을 거쳤다는 공통점이 있다. 노 대통령 땐 취임 1주년을 코앞에 두고 문희상 비서실장,유인태 정무수석,문재인 민정수석,이광재 국정상황실장 등 '창업공신'들이 대거 물러났다. 그해(2004년) 4월에 있었던 총선 출마가 주된 이유였지만 '개혁'보다는 '안정'쪽에 무게중심을 실었다는 게 당시의 대체적 평가였다. 현 정부 청와대 수석들도 지난해 6월 촛불시위 파문으로 인해 핵심들이 물갈이 되면서 2기 체제를 맞았다.
홍영식/이준혁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