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 사 · 민 · 정 비상대책회의가 어제 일자리 창출(創出)과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안을 내놓았다. 재계는 인위적 인원감축을 삼가는 등 고용유지에 적극 노력하고, 노동계는 임금을 동결 또는 반납하고 파업을 자제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아울러 정부는 자영업자의 고용보험 가입을 허용하고 실업급여 연장 및 수급조건 완화를 통해 실직자의 사회안전망을 넓혀주기로 했다.

노 · 사 · 민 · 정 회의의 합의안 도출은 정말 다행스런 일이다. 지금 우리 경제가 처한 전대미문의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서로 한발씩 양보하며 최대한 일자리를 지켜내는 외에 달리 뾰족한 묘수가 없는 까닭이다. 특히 노와 사의 제안에 의해 회의체가 구성된데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주도 사회적 합의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세부적으로 뜯어봐도 노사간 이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지혜를 짜낸 흔적이 뚜렷하다. 임금을 동결 · 반납하는 대신 기업측은 절감한 인건비를 활용해 비정규직 및 하청 ·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을 지원키로 한 점 등이 그것이다. 일자리 나누기를 실천한 기업에서 도산이나 경영상 이유로 해고가 발생하면 실업급여나 퇴직금 산정시 임금절감 이전 금액을 기준으로 하도록 한 점도 그러하다.

중요한 것은 일선 기업과 노조들이 하루라도 빨리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일이다. 세계경제가 급전직하로 추락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더 이상 노사가 갈등과 대립으로 소일할 시간이 없다. 물론 매출과 이익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고용을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근로자들 또한 임금을 동결 · 반납하면 허리띠를 한층 더 졸라매야 하는 만큼 반발이 없을 수 없다. 하지만 기업이나 근로자나 우선 살아남는 일이 급선무인 게 지금의 형편이고 보면 노 · 사 · 민 · 정 대타협의 취지를 수용하고 상생(相生)의 정신을 발휘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우리는 외환위기 때도 국민적 대단결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낸 전력이 있다. 위기가 닥치면 더 큰 힘을 발휘하는 민족의 저력을 되살려야 할 때다. 종교계 시민단체 학계 등도 이번 합의의 실천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며 선진적 노사문화의 정착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