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지방공항가운데 민간에 운영권을 맡길 대상으로 청주공항을 선정했다는 소식이다.

한국공항공사와 민간운영자간 경쟁체제 도입으로 지방공항의 효율화를 꾀하고자 하는 이번 운영권 매각실험이 성공할 경우 적자에 시달리는 지방공항들을 선진화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청주공항이 선정된 배경은 짐작할 만하다. 적자 공항이긴 하지만 꾸준한 항공수요 증가로 향후 수익증대 가능성이 높은 반면 경직적 인력구조로 비효율성 또한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수익성과 공익성을 조화시키면서 운영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모델로는 청주공항이 가장 적합하다는 점이 감안됐을 것이다.

그러나 매각대상 선정(選定)은 시작단계에 해당할 뿐 이제부터 할 일은 이것을 성공사례로 만드는 것이다.

사실 그동안 수익성은 고려되지 않은 채 정치적 이유 등으로 무분별하게 만들어져 적자에 시달리는 지방공항들을 그대로 둘 수는 없는 일이고 보면 이번 매각실험은 그런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청주공항에 대해 국제선 확대와 시설확충 등 지원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모두가 매입을 꺼리는 상황에서 적절한 유인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분명히 해야 할 원칙도 있다. 인건비 비중을 줄이려면 인력구조개편이 필요한데 이런 부분을 민간운영자가 제대로 할 수 없다면 효율성 개선(改善)은 기대하기 어렵다.

적자가 계속되고 정부가 메워 주는 식이 돼버리면 그것은 하나마나한 매각이 되고 말 것이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다른 적자 공항들도 청주공항을 보고 운영권 매각을 원하도록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