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9일 한 · 미 '키 리졸브' 및 '독수리' 합동 군사연습을 비난하며 남북한 사이의 마지막 소통 통로였던 군통신을 차단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개성공단에 가려던 700여명의 방북이 무산됐고 남측으로 귀환할 예정이던 개성공단 관계자들의 귀경도 오후 늦게까지 이뤄지지 못했다.


북한은 이날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남 사이에 유일하게 존재해온 군통신을 9일부터 차단할 것"이라며 "현재 개방돼 있는 동 · 서해지구 북남관리구역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군사적 통제를 실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성명은 특히 미국과 일본 등이 밝힌 북한 미사일 요격 방침에 대해 "(한 · 미 · 일) 본거지에 대한 정의의 보복 타격전을 개시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군 최고사령부도 이날 이례적으로 '보도'를 내고 "나라 앞에 조성된 엄중한 사태에 대처하여 전체 인민군 장병들이 만단의 전투준비를 갖추고 공화국의 하늘과 땅,바다에 단 한점의 불꽃이라도 튄다면 가차없이 무자비하게 징벌할 데 대한 명령을 하달하였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오늘 오전 중 출경 협의를 위해 군통신선을 통해 북측과 교신을 시도했으나 응답이 없었다"며 "북측의 방북 최종 동의를 받지 못함에 따라 오늘 오전 방북할 예정이던 726명에게 방북할 수 없게 됐다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의 군통신 차단 조치에 유감을 표명하고 통신선의 즉각적인 복원을 촉구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동 · 서해지구 남북관리구역 통행 · 통신 · 통관에 대한 군사적 보장 합의서 등 제반 남북 합의에 의거,개성공단과 금강산지구의 출입과 통신이 원만히 보장될 수 있도록 북한이 이번 조치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개성 · 금강산지구에서 우리 인원의 안전과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