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물가 마이너스로…기준금리 추가 인하할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월 -1.6%…디플레 우려 커져
중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동시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수요 감소 속에 물가가 급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 하락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는 2002년 12월 이후 6년2개월 만에 처음이다.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4.5%로 작년 12월의 -1.1%,1월의 -3.3%에 이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물가가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지난해 물가가 고공 비행을 했던 데다 세계 경기침체 여파로 원자재 가격이 급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물가가 하락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도 급속히 추락하는 모습이다. 올 1분기 성장률은 6.5%로,작년 4분기(6.8%)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9.0%였다. 특히 수출 증가율은 작년 12월 -2.8%,지난 1월 -17.5%를 기록했다. 중국이 이처럼 디플레에 빠지면 한국의 대중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다.
디플레 우려가 커지면서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국은 세계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지난해 9월 중순 이후 다섯 차례에 걸쳐 금리를 2.16%포인트 낮췄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 하락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는 2002년 12월 이후 6년2개월 만에 처음이다.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4.5%로 작년 12월의 -1.1%,1월의 -3.3%에 이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물가가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지난해 물가가 고공 비행을 했던 데다 세계 경기침체 여파로 원자재 가격이 급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물가가 하락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도 급속히 추락하는 모습이다. 올 1분기 성장률은 6.5%로,작년 4분기(6.8%)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9.0%였다. 특히 수출 증가율은 작년 12월 -2.8%,지난 1월 -17.5%를 기록했다. 중국이 이처럼 디플레에 빠지면 한국의 대중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다.
디플레 우려가 커지면서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국은 세계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지난해 9월 중순 이후 다섯 차례에 걸쳐 금리를 2.16%포인트 낮췄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