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하강 더 깊고 길어질 것"‥금리 추가인하 가능성 열어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환율 고려 기준금리 동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정책금리) 인하 랠리를 연 2%에서 일단 중단하고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원 · 달러 환율 급등세가 진정되는지 등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살펴본 뒤 통화정책을 펴겠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안정된다면 한은이 한두 차례에 걸쳐 0.5%포인트의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치고 있다.
◆외환시장 안정에 총력전
한은이 3월 기준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과 공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6일 외국인이 한국 국채에 투자할 경우 이자소득세 원천징수를 면제해 주는 것을 골자로 한 외환시장 안정책을 발표했다. 외국인의 국채 투자를 유도해 달러 유입을 늘리고 이를 통해 급등하는 환율을 잡겠다는 의도다.
그런데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정부 대책의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외국인투자자 입장에선 이자소득세 원천징수는 면한다 하더라도 금리가 떨어지면 이자소득 자체가 줄어들어 한국 채권 투자 메리트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한은 자체적으로도 환율에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환율이 뛰면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국내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3%대로 낮아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다시 4%대에 진입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 역시 7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상태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물가는 전반적으로 오름세가 둔화되는 추세인데 최근 환율 급등이 물가 상승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환율에 상당히 신경 쓰고 있음을 나타냈다.
◆금리 추가인하 가능성
한은이 금리를 내리지 않고 동결한 또 다른 이유는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때문이다. 이 총재는 "경기하강이 작년 말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더 깊고 길어지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으로선 장기전을 염두에 두고 실탄(금리 인하)을 아껴 둘 필요가 있다.
또 그간 많이 내린 것(작년 10월부터 6차례 걸쳐 3.25%포인트 인하)도 사실이다. 일각에선 한은이 4월 하순으로 예정하고 있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시점을 전후해서 금리인하 카드를 쓰기 위해 이달은 쉬어가는 것이라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향후 추가 금리인하 폭에 대해 서철수 대우증권 연구위원은 "선진국과의 금리차 등을 고려했을 때 기준금리 하한선은 연 1.5%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임지원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한은이 최대 0.5%포인트의 금리 추가 인하와 유동성 공급 확대라는 두 가지 수단으로 경기악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채 매입 등 경기부양 지원
이 총재는 "정부가 상당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고 재원의 많은 부분을 국채로 조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 정책에 호응할 것임을 다시 한번 밝혔다. 다만 "금융시장 전체를 보고 공개시장조작 등을 결정할 것임을 강조하고 싶다"며 국채를 인수(직매입)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회사가 일단 국채를 인수하고,만약 그 과정에서 금리가 오른다면 한은이 금융회사로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 방식으로 국채를 사 주며,그래도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한은이 국채를 인수하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외환시장 안정에 총력전
한은이 3월 기준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과 공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6일 외국인이 한국 국채에 투자할 경우 이자소득세 원천징수를 면제해 주는 것을 골자로 한 외환시장 안정책을 발표했다. 외국인의 국채 투자를 유도해 달러 유입을 늘리고 이를 통해 급등하는 환율을 잡겠다는 의도다.
그런데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정부 대책의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외국인투자자 입장에선 이자소득세 원천징수는 면한다 하더라도 금리가 떨어지면 이자소득 자체가 줄어들어 한국 채권 투자 메리트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한은 자체적으로도 환율에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환율이 뛰면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국내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3%대로 낮아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다시 4%대에 진입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 역시 7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상태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물가는 전반적으로 오름세가 둔화되는 추세인데 최근 환율 급등이 물가 상승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환율에 상당히 신경 쓰고 있음을 나타냈다.
◆금리 추가인하 가능성
한은이 금리를 내리지 않고 동결한 또 다른 이유는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때문이다. 이 총재는 "경기하강이 작년 말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더 깊고 길어지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으로선 장기전을 염두에 두고 실탄(금리 인하)을 아껴 둘 필요가 있다.
또 그간 많이 내린 것(작년 10월부터 6차례 걸쳐 3.25%포인트 인하)도 사실이다. 일각에선 한은이 4월 하순으로 예정하고 있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시점을 전후해서 금리인하 카드를 쓰기 위해 이달은 쉬어가는 것이라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향후 추가 금리인하 폭에 대해 서철수 대우증권 연구위원은 "선진국과의 금리차 등을 고려했을 때 기준금리 하한선은 연 1.5%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임지원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한은이 최대 0.5%포인트의 금리 추가 인하와 유동성 공급 확대라는 두 가지 수단으로 경기악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채 매입 등 경기부양 지원
이 총재는 "정부가 상당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고 재원의 많은 부분을 국채로 조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 정책에 호응할 것임을 다시 한번 밝혔다. 다만 "금융시장 전체를 보고 공개시장조작 등을 결정할 것임을 강조하고 싶다"며 국채를 인수(직매입)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회사가 일단 국채를 인수하고,만약 그 과정에서 금리가 오른다면 한은이 금융회사로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 방식으로 국채를 사 주며,그래도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한은이 국채를 인수하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