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로 개원 1주년을 맞은 삼성서울병원 산하 삼성암센터(센터장 심영목)는 지난해 위암 대장암 폐암 부인암 등 4개 부문에서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술 실적을 올렸다고 16일 발표했다.

암센터는 이들 암을 비롯한 주요 12대 암 수술건수가 2007년 7258건에서 지난해 1만2524건으로 73% 늘었으며 특히 대장암은 788건에서 1533건,위암은 968건에서 1879건으로 각각 95%,94% 늘어 그동안 이 분야에서 수술건수 1위를 차지해온 서울아산병원을 앞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폐암은 전년 대비 42% 늘어난 794건,부인암(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은 46% 증가한 1702건의 수술을 각각 시행,기존 수위 자리를 지키게 됐다.

이로써 삼성암센터는 지난해 처음으로 12대 암 중 4종의 암 수술 건수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됐고 서울아산병원은 간암 유방암 등 7종의 암에서,세브란스병원은 갑상선암에서 1위를 유지했다. 이 밖에 삼성암센터는 간암(80%),유방암(75%),갑상선암(173%) 등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심영목 암센터장은 "단일 암센터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지상 11층,지하 8층,655병상)인 데다가 아무리 환자가 폭주해도 첫 방문 후 1주 만에 진단이 나오고 한 달 만에 수술이 끝나도록 하는 신속 진료 시스템을 갖춘 결과 이 같은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며 "특히 집도의들이 주말에도 출근하는 등 하루 평균 65건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루 평균 암치료 외래환자도 암센터 개원 이전인 2008년 1월에 1558명이었지만 12월에는 2019명으로 30%가량 증가했다. 치료의 신속성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반영하는 수술 후 입원 일수는 환자 1인당 평균 11.9일로 국내 3차 의료기관의 평균치인 16.2일보다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첫 방문 후 1주 안에 수술까지 마친다는 개원 당시의 진료 목표는 환자 폭주 및 특정 의사에 대한 선호도 집중으로 암 종류마다 수술까지 2~4주가 소요되는 등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병원 측은 암센터의 급성장에 맞춰 지난 연말 최한용 병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외국인 환자유치 활성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아시아 암치료의 허브로 발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소개했다. 실제 지난해 암 심장병 등 순수 치료 목적으로 방한한 외국인 환자는 400명으로 최근 5년간 매년 2배 이상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은 1명당 평균 1700여만원을 치료비로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