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재건지원ㆍPSI 전면참여 등 `부각'
"표적테러면 여행금지국 지정 등도 신중 검토"

예멘에서 한국인 관광객 4명이 폭발로 사망한 사건이 '계획적인 자살폭탄테러 행위'로 드러남에 따라 정부 대응이 주목된다.

정부는 17일 예멘 정부로부터 `테러에 따른 폭발'이라는 1차 수사결과를 통보받은 뒤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내일 외교부내 회의를 거쳐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대응은 테러의 성격이 한국인을 겨냥했느냐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선 한국인을 겨냥한 테러인지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예멘 내무부 차관이 우리측에 `그들은 모든 것에 반대한다(They are against everything)'라고 설명, 일단은 불특정 다수에 대한 테러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만의하나 추후 수사결과 한국인이 우연히 희생된 것이 아니고 한국인을 겨냥한 표적테러인 것으로 드러난다면 정부의 대응도 한층 엄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만약 한국인을 타깃으로 한 테러로 밝혀진다면 면밀한 원인분석과 함께 여행금지국 지정 등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테러세력에 대한 물리적 대응은 그 수단이 마땅치 않은데다 실효성도 없어 검토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대신 국제사회를 통한 대테러전 동참 방안을 집중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문태영 대변인도 이날 성명을 통해 "우리나라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국제테러의 방지와 효과적 진압을 위한 노력을 배가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단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재건 지원이 신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인 탈레반이 활동하고 있는 아프간에 파견한 민간재건팀(PRT)의 역할과 규모를 확대하기로 하고 현재 구체적인 계획을 작성중이다.

특히 PRT는 의료지원과 직업훈련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이번 일로 현지 경찰을 지도할 훈련요원의 파견 등 정세안정을 위한 방안이 아프간 지원 카드로 적극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또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참여 문제가 이번 일을 계기로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

PSI는 핵무기를 포함한 WMD를 실은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공해상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으로, 이는 테러세력에게 WMD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한국은 PSI의 8개항 중 참가국간 역내.외 훈련에 참관단 파견, 브리핑 청취 등 옵서버 자격으로 가능한 5개항에는 참여하고 있지만 ▲정식참여 ▲역내.외 차단훈련시 물적 지원에는 동참하지 않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체결된 12개 대테러 국제협약에 모두 가입(`핵테러협약'은 비준 대기중)하는 등 이미 국제사회의 대테러 공조에 적극 참여하고 있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아프간 지원이나 PSI 등과 같은 이슈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