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생산성 '최저' 임금상승률 '최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연, 선진6개국과 비교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해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취약하지만 임금 상승률은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선진 6개국과 국내 산업을 비교한 '한국의 산업별 경쟁력 국제비교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말 기준 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구매력(PPP)을 기준으로 미국 달러화로 환산했을 때 28.8달러로 일본 41.7달러,미국 50.0달러,독일 49.5달러 등 비교 대상국 중 최저 수준에 그쳤다. 반면 2000~2005년 제조업 임금 상승률은 한국 5.7%,일본 3.4%,미국 4.2%,독일 2.9%였다. 같은 기간 한국 전 산업의 임금지수 증가율은 3.7%로 미국(4.0%) 프랑스(3.9%)에 이어 3위였다.
노동생산성이 낮은데도 고급 인력의 투입 비중과 근로시간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말 기준 한국의 전 산업 1인당 근로시간은 2387시간으로 미국(1770시간) 일본(1691시간)보다 많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말 기준 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구매력(PPP)을 기준으로 미국 달러화로 환산했을 때 28.8달러로 일본 41.7달러,미국 50.0달러,독일 49.5달러 등 비교 대상국 중 최저 수준에 그쳤다. 반면 2000~2005년 제조업 임금 상승률은 한국 5.7%,일본 3.4%,미국 4.2%,독일 2.9%였다. 같은 기간 한국 전 산업의 임금지수 증가율은 3.7%로 미국(4.0%) 프랑스(3.9%)에 이어 3위였다.
노동생산성이 낮은데도 고급 인력의 투입 비중과 근로시간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말 기준 한국의 전 산업 1인당 근로시간은 2387시간으로 미국(1770시간) 일본(1691시간)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