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정부는 지역 산학협력의 거점 기능을 수행할 ‘2단계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하기로 하고 5년간 총 24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는 기업지원 중심의 산학협력 강화와 개방형 산학협력체제 구축을 위해 ‘2단계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발표했다.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1단계에 이어 올해부터 시작하는 2단계에서는 대학이 중심이 되어 대학의 산학협력체제로의 개편,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양성,기업과 공동기술 개발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또 전문대학 차원의 산학협력은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및 취업연계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산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에 집중키로 했다.이밖에 업종별·지역별 산학협력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유기적인 산학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2단계 지원대상으로 우선 5대 광역권별로 산학협력 역량이 우수한 2개 대학을 선정하며,수도권의 경우 대학(학생)수 및 산업여건 지표 등이 타 권역대비 높은 점을 고려해 3개 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또 5대 광역권별 경쟁에서 선정되지 못한 대학을 대상으로 전국 공개경쟁을 실시해 4년제 대학 6곳과 전문대학 4곳을 추가 선정키로 했다.공고는 3월말 예정이며,5∼6월 평가를 거쳐 6월말 지원대상으로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1단계 사업 결과 산학협력을 브랜드화한 가족회사가 1만2000여개 확보되고 교수 및 전문가를 활용한 기술지도가 (1만6511회,기술개발이 978건 이뤄지는 등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또 지역산업에 특화된 특성화 학과가 지난해 기준 재학생 2만1400명 규모로 개설되고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계약형 학과도 1100명 규모로 마련되는 등 산업현장에 필요한 인력 공급을 주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