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 전후 높새바람…산불 위험 최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64%는 봄철(3월~5월)에 발생하고 이 가운데 특히 식목일을 전후해 높새바람이 부는 3월 하순부터 4월 말까지 산불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산림청(청장 정광수)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3월 27일~4월 26일까지 총 154건(1일 평균 5건)의 산불이 발생해 3000ha 가량의 산불피해가 났으며 이는 연간 발생건수의 31%, 피해면적의 88%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또 식목일이 있는 청명·한식을 전후한 3일간에 40건이 발생, 이 기간중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했다. 30ha이상 피해를 낸 대형산불도 지난 10년간 46건이 발생했고 이 중 32건(70%)이 이 시기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일 단위로 산불이 가장 많이 난 날은 10년 평균 23건을 기록한 식목일이다. 이는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이자 한식이어서 성묘객과 행락객에 의한 산불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닌 2006년부터는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2006년 0건, 2007년 6건, 2008년 7건으로 줄었다.
그러나 올해는 식목일이 청명·한식, 일요일과 겹치면서 과거 식목일의 악몽이 재현된 우려가 높다. 이에따라 산림청은 “27일~4월 26일 한 달간을 ‘산불 총력 대응기간’으로 정하고 산불감시원 3만명, 무인감시카메라 544대, 중형헬기 13대를 활용한 지상·공중간 입체 산불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진화헬기 47대와 산불 전문진화대 7000명을 신속하게 투입해 초동 진화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불의 대부분이 사소한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고 야간산불이나 강한 바람과 동반되면서 대형산불로 이어진다”며 “논·밭두렁 소각이나 쓰레기 태우기, 산림 내 취사 및 흡연행위 등을 대대적으로 단속, 위반자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 등 엄중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
27일 산림청(청장 정광수)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3월 27일~4월 26일까지 총 154건(1일 평균 5건)의 산불이 발생해 3000ha 가량의 산불피해가 났으며 이는 연간 발생건수의 31%, 피해면적의 88%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또 식목일이 있는 청명·한식을 전후한 3일간에 40건이 발생, 이 기간중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했다. 30ha이상 피해를 낸 대형산불도 지난 10년간 46건이 발생했고 이 중 32건(70%)이 이 시기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일 단위로 산불이 가장 많이 난 날은 10년 평균 23건을 기록한 식목일이다. 이는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이자 한식이어서 성묘객과 행락객에 의한 산불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닌 2006년부터는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2006년 0건, 2007년 6건, 2008년 7건으로 줄었다.
그러나 올해는 식목일이 청명·한식, 일요일과 겹치면서 과거 식목일의 악몽이 재현된 우려가 높다. 이에따라 산림청은 “27일~4월 26일 한 달간을 ‘산불 총력 대응기간’으로 정하고 산불감시원 3만명, 무인감시카메라 544대, 중형헬기 13대를 활용한 지상·공중간 입체 산불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진화헬기 47대와 산불 전문진화대 7000명을 신속하게 투입해 초동 진화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불의 대부분이 사소한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고 야간산불이나 강한 바람과 동반되면서 대형산불로 이어진다”며 “논·밭두렁 소각이나 쓰레기 태우기, 산림 내 취사 및 흡연행위 등을 대대적으로 단속, 위반자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 등 엄중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