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다자외교..금융위기 극복 국제공조 주도
미.중.일 등과의 양자회담서 北미사일 대책 논의

이명박 대통령이 내달 2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제2차 G20 금융정상회의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의 G20회의 참석은 취임 후 5번째이자 올들어 첫 다자외교 무대로,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절실한 상황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북한의 로켓 발사 여부가 국제사회의 최대 관심사로 부상한 가운데 이 대통령은 G20회의를 전후로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정상들과 양자 정상회담을 하고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여 논의결과가 주목된다.

◇경제위기 극복 `국제공조' 주도 = 지난해 11월 워싱턴 1차 회의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머리를 맞댔던 G20 회원국 정상들은 이번 2차 런던회의에서 국제공조를 위한 한 단계 진전된 결과물을 도출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주요국들이 세계경제의 동시부양을 위해 재정지출을 일시에 확대하는 등 거시경제 정책에 관한 공조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금융시장 불안 해소 및 시장신뢰 회복을 위한 협력방안을 도출한다는 구상이다.

이 과정에서 이 대통령은 국제공조를 위한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합의를 촉구하며 논의를 적극 주도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가 영국, 브라질과 함께 G20회의의 `트로이카 의장국'을 맡고 있는데다 과거 97년 외환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경험을 갖고 있는 만큼 단순한 협력 차원을 넘어 논의에 앞장서겠다는 입장이다.

이 대통령은 외신 인터뷰 등을 통해 그런 의지를 분명히 내비치고 있다.

이 대통령은 30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워싱턴 정상회의의 구체적인 이행조치로 세계무역기구(WTO)가 무역이나 금융 장벽을 쌓은 나라의 이름을 정기적으로 공개할 것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워싱턴 정상회의에서 선언한 이른바 `스탠드스틸(Stand-still.새로운 무역장벽 도입금지 원칙)' 방침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자는 취지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과 관련, 외환위기 당시 우리 정부의 부실채권 정리 경험과 최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자본금 확대를 통한 은행채권 매입 조치 등을 소개하며 이번 기회에 각국이 부실채권 처리 원칙에 합의할 것을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금융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금융규제 개선과 함께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의 지배구조 개선 등에 대해서도 참가국 정상들과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