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는 ‘북한발(發) 리스크’에 대한 내성이 강한 편이다. 한 두번 겪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동안 1998년 대포동 1호발사, 2002년 2차 북핵 위기, 2006년 미사일 발사에 이은 핵실험 등 초특급 ‘북한 악재’를 큰 무리 없이 견뎌냈다.

이로 인해 이번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인한 경제 파장도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러나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대응 방안 수위에 따라 상황이 악화될 우려는 남아 있다.

◆큰 동요 없을 듯

북한이 대포동 미사일 1호를 발사한 1998년 8월 국내 주식시장과 금융시장은 큰 충격을 받지 않았다. 발사 당일 주가는 오히려 5.4포인트 올라갔다. 환율은 14원 뛰는데 그쳤다.

‘북한의 핵실험’이라는 초강력 악재가 터진 2006년 10월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핵실험 당일에는 코스피지수가 32포인트 떨어지고 환율이 14원80전 오르는 등 국내 시장이 요동을 쳤다. 그러나 파장이 오래 가지는 않았다. 보름 남짓 지나자 모두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외국인들은 핵실험 당일에도 순매수에 나설 정도로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이런 과거 경험을 볼 때 이번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도 국내 경제에 대형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게다가 북한의 이번 장거리 로켓 발사는 이미 수차례 예고됐다. ‘돌발 악재’는 아닌 셈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로켓을 쐈다고 해서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치진 않을 것”이라면서 “단기간 출렁임이 있겠지만 다시 안정세를 찾을 것이며 외국 투자자들도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별 동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신인도에는 부담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앞둔 상황이라는 것은 부담이다. 피치는 작년 11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한 단계 낮춰 ‘부정적’으로 조정해 놓은 상태다. ‘부정적’이라는 신용전망은 조만간 신용등급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무디스도 지난 달 한국을 방문,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작업을 마치고 돌아갔다.

무디스 등 일부 신용평가회사들이 북핵 리스크가 불거질 때마다 민감한 반응을 보여 왔다는 것도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무디스는 2003년 2월 제2차 북핵 위기가 북한의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 등으로 이어지자 신용등급 전망을 두 단계 내렸다.

정부가 준비 중인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북핵 리스크’가 악화될 경우 외평채에 붙는 가산금리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가뜩이나 어려운데”

국내 주요 경제단체들은 강한 어조로 북한을 비난했다. 박대신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북한의 벼랑끝 전술은 국내 경제 회복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내 주식 시장과 외환 시장이 북한의 무모한 행위에 악영향을 받지나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성명서를 통해 ”북한 로켓 발사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에 한반도 주변의 불안정성을 부각해 우리 경제위기 극복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심히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특히 남북간 긴장도가 높아져 개성공단 등 북한에 진출한 기업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됐다. 오영호 무역협회 부회장은 ”이번 사태가 100여 개 기업이 투자해 놓은 개성공단의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유현 정책총괄본부장도 ”개성공단에 진출해있는 중소기업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경영위기를 겪지 않을지 걱정“이라며 ”이번 일로 개성공단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들의 경영활동이 위축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