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호남선 탄 한나라의 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기현 정치부 기자 khcha@hankyung.com
박희태 대표최고위원 등 한나라당 지도부는 8일 오전 용산역에서 목포행 호남선 KTX 열차에 몸을 실었다. 이날 전주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최고 중진 연석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전주가 어떤 곳인가. 지난 대통령 선거 때 민주당 후보로 나섰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정치적 고향이자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총 여섯 차례의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나라당이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한 '동토의 땅'이다. 한나라당이 4 · 29 재보선 출정식 성격의 행사를 이날 전주에서 연 것을 두고 '적진 한복판으로 갔다'는 얘기가 나올 만하다.
한나라당의 '서진(西進) 정책'을 보는 전주의 시선은 나쁘지는 않았다. 완산갑 재보선 지역구인 중화산동에서 만난 김모씨(47 · 사업)는 "요즘같이 먹고 살기 힘든 때 니 편 내 편이 따로 있당가요. 경제 살려 주는 쪽이 우리 편이지라"며 지역 발전 공약을 보고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했다.
이 지역 유력 지방신문도 지난 7일자 사설에서 "한나라당이 비교적 지명도 높은 인물(완산갑 태기표,덕진 전희재 후보)을 공천한 것은 퍽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낙후된 지역 발전을 앞당겨야 한다는 점에서 집권 여당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인물을 지역에서 뽑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전주 재보선을 '경제 살리기 선거'로 규정했다. 박 대표는 회의에서 "구애하러 왔다. 짝사랑에 그치더라도 계속 사랑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지역 여당 후보들은 일제히 '새만금'을 외치는 것을 빼고는 신선한 경제 살리기 공약을 가져오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선거 때 반짝 저러다 말겠지"라는 냉소적인 반응이 아직은 더 많은 게 사실이다. 전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백'으로 야권에 대한 실망감이 커졌지만 그에 힘입어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이 지역 득표율(9.6%)만 넘어서자"는 게 여당의 솔직한 목표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전주(KTX 미개통)로 가기 위해 익산역에서 내려 한 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호남의 낙후된 인프라를 몸소 체험하면서 이날 회의를 '일회성 이벤트'라고 생각하는 지역민의 냉소를 걷어 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느꼈을 것으로 믿는다.
전주가 어떤 곳인가. 지난 대통령 선거 때 민주당 후보로 나섰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정치적 고향이자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총 여섯 차례의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나라당이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한 '동토의 땅'이다. 한나라당이 4 · 29 재보선 출정식 성격의 행사를 이날 전주에서 연 것을 두고 '적진 한복판으로 갔다'는 얘기가 나올 만하다.
한나라당의 '서진(西進) 정책'을 보는 전주의 시선은 나쁘지는 않았다. 완산갑 재보선 지역구인 중화산동에서 만난 김모씨(47 · 사업)는 "요즘같이 먹고 살기 힘든 때 니 편 내 편이 따로 있당가요. 경제 살려 주는 쪽이 우리 편이지라"며 지역 발전 공약을 보고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했다.
이 지역 유력 지방신문도 지난 7일자 사설에서 "한나라당이 비교적 지명도 높은 인물(완산갑 태기표,덕진 전희재 후보)을 공천한 것은 퍽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낙후된 지역 발전을 앞당겨야 한다는 점에서 집권 여당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인물을 지역에서 뽑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전주 재보선을 '경제 살리기 선거'로 규정했다. 박 대표는 회의에서 "구애하러 왔다. 짝사랑에 그치더라도 계속 사랑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지역 여당 후보들은 일제히 '새만금'을 외치는 것을 빼고는 신선한 경제 살리기 공약을 가져오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선거 때 반짝 저러다 말겠지"라는 냉소적인 반응이 아직은 더 많은 게 사실이다. 전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백'으로 야권에 대한 실망감이 커졌지만 그에 힘입어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의 이 지역 득표율(9.6%)만 넘어서자"는 게 여당의 솔직한 목표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전주(KTX 미개통)로 가기 위해 익산역에서 내려 한 시간 가까이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호남의 낙후된 인프라를 몸소 체험하면서 이날 회의를 '일회성 이벤트'라고 생각하는 지역민의 냉소를 걷어 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느꼈을 것으로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