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유성 산업은행장 "사모펀드 만들어 구조조정기업 인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헐값매각 부담줄어 윈윈
주거래기업 아닌곳도 대상
주거래기업 아닌곳도 대상
민유성 산업은행장이 8일 유동성 부족에 처한 대기업 구조조정을 돕기 위해 사모펀드(PEF)를 조성,구조조정 대상 회사를 인수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금융위기 상황에서 기업이나 자산매각이 여의치 않은 만큼 산은이 재무적 투자자를 모아 대기업들이 매각을 요청한 회사를 사들이겠다는 것이다.
민 행장은 "대기업의 유동성 부족은 1차적으로 대주주가 책임질 문제"라며 "다만 구조조정 의지가 있는 대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PEF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PEF를 통해 경영권을 포함,대주주 지분을 전량 인수해 대기업 계열에서 완전 분리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는 "문제는 가격"이라며 "대기업들이 헐값에 알짜 회사들을 내놓으려 하지 않는 만큼 경기회복 후 가격이 오르면 수익의 일부를 되돌려 주는 방식으로 원활한 매각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대우조선해양 매각 과정에서 한화에 제시했던 방식을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당시 산은은 인수자금 부족을 호소한 한화 측에 PEF를 조성,계열회사나 자산을 사후정산 방식으로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민 행장은 "구조조정 차원에서 이뤄지는 매각인 만큼 나중에 원할 경우 매각한 회사를 되사갈 수 있도록 우선매수 청구권도 인정해 줄 방침"이라며 "이는 시장기능에 따른 선제적 구조조정"이라고 강조했다.
대기업에 대한 특혜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산업은행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사주면 특혜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 같은 방식은 산은과 재무적 투자자,대기업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 매각과정에서 한화에 제시한 조건으로 특혜 논란이 벌어졌느냐"며 "우선인수권도 시장가격으로 살 용의가 있는지를 먼저 물어보는 것이지,시장보다 싼 가격에 주겠다는 의미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민 행장은 한발 더 나아가 "산업은행과 주거래 관계가 아닌 대기업들도 원할 경우 자산매각을 위한 시장 조성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재무적 투자자들이 원하는 수익률을 맞춰줄 수 있는 구조를 짤 수 있는 가격 조건이라면 기업의 규모나 주거래 여부를 따지지 않겠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의 이 같은 방침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대기업들의 계열사 매각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과 맞물려 나온 것으로 얼마나 현실성 있게 추진될지가 주목된다.
특히 이달부터 시작된 채권은행들의 45개 주채무계열 기업집단에 대한 평가 후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한 기업집단은 계열사 매각 등의 방식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하는 상황이다.
민 행장은 현재 경기상황에 대해 "수출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상 글로벌 경제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경기저점이 확인됐다고 볼 수 없다"며 "섣부른 경기회복 기대감이 기업들로 하여금 구조조정의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지금 구조조정을 확실하게 한 기업은 향후 글로벌 경제가 회복될 경우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민 행장은 "대기업의 유동성 부족은 1차적으로 대주주가 책임질 문제"라며 "다만 구조조정 의지가 있는 대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PEF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PEF를 통해 경영권을 포함,대주주 지분을 전량 인수해 대기업 계열에서 완전 분리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는 "문제는 가격"이라며 "대기업들이 헐값에 알짜 회사들을 내놓으려 하지 않는 만큼 경기회복 후 가격이 오르면 수익의 일부를 되돌려 주는 방식으로 원활한 매각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대우조선해양 매각 과정에서 한화에 제시했던 방식을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당시 산은은 인수자금 부족을 호소한 한화 측에 PEF를 조성,계열회사나 자산을 사후정산 방식으로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민 행장은 "구조조정 차원에서 이뤄지는 매각인 만큼 나중에 원할 경우 매각한 회사를 되사갈 수 있도록 우선매수 청구권도 인정해 줄 방침"이라며 "이는 시장기능에 따른 선제적 구조조정"이라고 강조했다.
대기업에 대한 특혜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산업은행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사주면 특혜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 같은 방식은 산은과 재무적 투자자,대기업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 매각과정에서 한화에 제시한 조건으로 특혜 논란이 벌어졌느냐"며 "우선인수권도 시장가격으로 살 용의가 있는지를 먼저 물어보는 것이지,시장보다 싼 가격에 주겠다는 의미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민 행장은 한발 더 나아가 "산업은행과 주거래 관계가 아닌 대기업들도 원할 경우 자산매각을 위한 시장 조성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재무적 투자자들이 원하는 수익률을 맞춰줄 수 있는 구조를 짤 수 있는 가격 조건이라면 기업의 규모나 주거래 여부를 따지지 않겠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의 이 같은 방침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대기업들의 계열사 매각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과 맞물려 나온 것으로 얼마나 현실성 있게 추진될지가 주목된다.
특히 이달부터 시작된 채권은행들의 45개 주채무계열 기업집단에 대한 평가 후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한 기업집단은 계열사 매각 등의 방식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하는 상황이다.
민 행장은 현재 경기상황에 대해 "수출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상 글로벌 경제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경기저점이 확인됐다고 볼 수 없다"며 "섣부른 경기회복 기대감이 기업들로 하여금 구조조정의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지금 구조조정을 확실하게 한 기업은 향후 글로벌 경제가 회복될 경우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